“나는 편의보다 지적 동의와 개인적 원칙을 우선으로 삼는 바람에 힘든 길을 걸었다. 하지만 중요한 문제에서 나는 내 직감을 믿으며, 어느 한쪽 편에 서기 어렵게 된 것에 대해서는 사과하지 않는다.”
조 바이든이 자서전 ‘지켜야 할 약속’에서 밝힌 그의 신념의 한 대목이다. 바이든은 평생 특정 이념보다는 자신의 판단과 당대의 여론과 현실에 충실히 따르는 행보를 보여왔다. 걸프전에는 반대했지만 지난 2001년 9·11사태 이후에는 전쟁에 찬성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같은 현실주의 정치관 속에서도 그는 50년 정치 이력에서 전통 민주주의 가치와 다자주의 원칙을 지켜왔다. 이는 대권 도전 3수만에 차기 대통령 자리에 한발 더 성큼 다가서게 된 바탕이기도 하다.
정치에서는 미국식 민주주의, 통상에서는 다자주의를 옹호하고 국내 경제에서는 진보적 가치를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미국 우선주의와 일방주의 외교, 독불장군 스타일로 상징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는 크게 다르다.
바이든은 가톨릭 신자지만 부통령이던 2012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보다 먼저 동성결혼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낙태에 전적으로 찬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성의 선택권에는 동의한다고 밝혀 가톨릭 단체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바이든의 정치 이념과 성향은 이번 대선 공약을 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먼저 경제에서는 경제주체 각각의 자유보다는 공동체의 이익을 중시한다. 개인소득세 최고세율을 현행 37%에서 39.6%로 상향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35%에서 21%로 내린 법인세 역시 28%로 인상하는 것이 공약이다. 바이든 후보는 지난달 15일 타운홀 행사에서 “법인세율 인상 정책은 중산층이 아닌 부자들을 겨냥한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세제개편은 부자들을 위한 세금 인하였다”고 주장했다. 경제력집중이 심해지는 것을 막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저소득층에 대한 가치관도 맥락이 같다. 바이든은 연방 최저임금을 올려 최저임금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무역의 경우 보호무역보다는 자유무역이 미국과 세계의 이익에 더 기여한다고 본다. 일방적인 관세정책에는 반대한다.
보건복지에 대한 바이든의 신념은 유명하다. 오바마케어에 대해 오바마 전 대통령보다 더 찬성한다. 그는 교통사고로 첫 번째 아내와 딸을 잃었고, 2015년에는 암으로 장남을 잃었다. 자신 또한 뇌동맥류로 수술을 받아 미국의 병원비가 얼마나 무서운지 누구보다 잘 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 역시 사적 의료보험이 없었다면 파산했을지 모른다. 이민에 대해서는 관대한 편이다. 그 역시 아일랜드계 이민자의 후손임을 강조하면서 ‘아메리칸 드림’의 가치가 누구에게나 공정하게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50년 정치 여정 중 부통령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상원 외교위원장을 지냈다는 것이다. 오바마 전 대통령이 그를 러닝메이트로 지명한 것도 그가 외교통인 것이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했다. 스스로도 외교 전문성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한 편이다.
바이든은 미국이 패권을 강화하고 세계 질서를 리드해야 한다는 생각은 갖고 있지만 일방주의 외교는 지양한다. 중국에 대해서는 오바마 행정부의 부통령 때 그랬던 것과 마찬가지로 강경한 입장이다. 한일동맹과 미일동맹을 강화해 중국의 태평양 진출을 막아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일각에서는 바이든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과거 자주 만났다는 점을 들어 겉으로는 반중이지만 중국에 대해 친근감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오바마 전 대통령 때 미일관계가 가장 좋았다는 평가가 나왔는데 바이든도 일본을 아시아의 중요 파트너로 생각하는 편이다.
북한에 대해서는 강경한 편이다. 섣부른 대화보다는 압박과 제재를 통해 협상장에 끌어내 핵 포기를 받아내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바이든 후보는 지난달 22일 열린 마지막 대선후보 토론에서 “김정은이 핵 능력 축소에 동의하면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깡패(thug)라고 부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