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방역 단계를 최고 수준인 ‘초특급’으로 격상했다. 초특급은 지상·해상·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을 봉쇄하고 모임과 학업을 중지하거나 국내 지역을 완전히 봉쇄하는 경우를 뜻한다.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남북교류에도 더 시간이 걸리게 됐다.
조선중앙방송은 2일 “초특급 비상방역조치들을 복원한 데 맞게 중앙비상방역부문에서는 비상방역 규율과 질서를 철저히 엄수하도록 강하게 대책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일부 상점, 음식점, 목욕탕 등의 영업이 중지되고 이동에도 제한이 걸렸다. 방송은 “지역별 인원 이동을 제한하고 일부 봉사단위들의 활동을 잠정중단(했다)”며 “모든 단위에서 화상회의체계, 구내 방송망을 완비하며 출장 여행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또 지상과 공중, 해상을 막론하고 국경을 걸어 잠그고 국내로 물자가 들어오는 국경 다리와 항만에 소독시설을 설치했다. 주민 사상 교양 사업도 한층 더 강화하고 간부진에는 방역 분위기를 다잡을 것을 주문했다.
북한이 초특급 방역 조치를 다시 시행하게 된 것은 겨울철에 들어서면서 전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에드윈 살바도르 세계보건기구(WHO) 평양사무소장은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를 통해 “북한 정부가 최근 몇 주간 코로나19 검사를 일주일 당 평균 1,600회 시행하고 있다”며 “겨울이 시작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독감 의심 증상이나 중증급성호흡기 감염증 증상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북한은 아직도 확진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북한은 코로나19를 계기로 ‘비상방역법’을 제정하고 방역 등급을 1급·특급·초특급 세 단계로 분류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2월 코로나19가 빠르게 번지기 시작할 때도 초특급 방역조치를 취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올 7월 탈북민이 월북해 개성에 진입했을 때는 특별경보를 발령하고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최대비상체제’로 격상했다.
북한이 방역 수위를 높임에 따라 보건협력에 속도를 내려던 한국 정부의 전략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부는 전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대북 제재 면제 기준을 완화하자 이를 환영하면서 곧바로 인도적 대북지원 물품에 대한 대북제재를 포괄적으로 면제받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