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외국인 11월 국내 주식 순매수 6조원대... 7년 2개월 만의 최대

금융감독원 '외국인 증권 투자 동향'

유가증권 5조, 코스닥 2,600억 순매수

달러화 약세,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




코스피의 상승세가 이어진 지난 11월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수가 7년 2개월 만의 최대치인 6조 1,000억 원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6조 1,250억 원(유가증권시장 5조 8,570억 원, 코스닥시장 2,680억 원)을 순매수했다. 이는 2013년 9월의 8조 3,000억 원) 이후 최대 규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7월을 빼고 매월 순매도 흐름을 이어오던 외국인은 10월 1조 3,580억 원 순 매수로 돌아선 데 이어 11월에도 매수 우위를 유지했다. 이러한 외국인의 순매수 배경으로는 미국 대선 이후 경기 부양책 타결과 코로나19 백신 개발 성과에 따른 세계적인 달러 약세와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에 따른 투자 심리 개선 등이 꼽힌다.


지역별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수 규모는 유럽 4조5,000억 원, 미국 1조 원을 포함한 미주 1조 4,000억 원, 중동 800억 원, 아시아 5억 원 순이다. 외국인이 보유한 상장주식 시가총액은 지난달 말 기준 전체 증시의 30.8%에 해당하는 675조 원으로 10월 말보다 90조 원 늘어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국가별 보유 잔액 규모는 미국이 279조 원으로 외국인 전체의 41.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유럽이 206조 원(30.5%), 아시아 89조 원(13.2%), 중동 25조 원(3.7%)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채권시장에서는 외국인이 상장채권 2조6,480억 원을 순매수했으나 3조 5,610억 원이 만기 상환되며 총 9,130억 원의 순회수가 나타났다. 11월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채권은 상장잔액의 7.3% 수준인 150조 원으로 전월보다 5,000억 원 가량 줄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와 미주에서 각각 2조3,000억 원, 2,000억 원의 순투자가 이뤄진 반면 유럽과 중동에서는 2조2,000억 원, 3,000억 원씩 순회수가 나타났다. 보유 규모로는 아시아가 73조 원(외국인 전체의 48.8%)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이 44조 원(29.5%), 미주가 13조 원(8.5%)으로 그 뒤를 이었다. 종류별로는 국채를 4,000억 원 순투자한 반면 통화안정증권(통안채)을 1조7,000억 원 순회수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