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철원의 비무장지대(DMZ)를 비롯한 접경 지역에서 진행된 ‘6·25 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이 최근 종료됐다. 유해 발굴 작업은 동절기가 지난 내년 4월께 재개될 예정이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지난 2000년부터 유해 발굴 작업을 시작해 지난달까지 1만 2,000여 구의 유해를 찾아냈다. 이 가운데 국군 전사자의 유해는 1만여 구이지만 신원이 확인된 유해는 140여 구에 불과하다.
유해를 발굴하게 되면 가장 중요한 것이 신원 확인인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게 유전자(DNA) 분석이다. 발굴된 유해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는 인식표 등이 있다면 신원 확인이 수월하겠지만 이 같은 유품이 온전히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어 DNA 분석에 기대야 한다.
유해의 신원 확인을 위한 DNA 분석은 유가족이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해야만 가능하다. 유가족의 DNA 정보가 등록되면 유해의 DNA와 비교·분석해 혈연 지간임을 확인한다.
국유단에 따르면 신원 미확인 국군 유해 1만여 구와 미수습된 유해 12만 3,000여 구 등 총 13만 3,000여 구의 유해에 대한 시료 채취가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한 유가족은 현재 5만여 명에 불과하다.
발굴된 유해들을 가족의 품으로 하루빨리 돌려보내기 위해서는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 채취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 하지만 아직도 유전자 시료 채취를 모르는 유가족이 많은 상황이어서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때다.
유전자 시료 채취는 8촌 이내의 친척이면 가능하고 가까운 보건소나 군 병원에서 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유가족에게는 국유단에서 채취 키트를 집으로 보내주기도 한다. 유전자 시료 제공으로 유해의 신원이 확인되면 심사를 통해 최대 1,000만 원의 포상금도 지급한다. 국유단 홈페이지에는 이 같은 내용이 소개돼 있지만 유가족 대부분이 고령이어서 이런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정부가 앞장서서 여러 수단으로 홍보하고 시료 채취 참여율을 높여 더 많은 전사자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기를 기대한다.
mykj@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