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연내 2,000만명 백신 접종…내년 5∼6월 집단면역 기대"

백신개발 책임자 "내년 1분기 1억명 접종 목표"

FDA 국장 "백신, 철저한 기준 충족" 외압설 일축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 랜싱에 있는 ‘캐피털 리전 국제공항’에서 화이자ㆍ바이오앤테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첫 출하 물량 중 일부가 미 물류업체 UPS의 수송기에 실리고 있다./AP 연합뉴스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 랜싱에 있는 ‘캐피털 리전 국제공항’에서 화이자ㆍ바이오앤테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첫 출하 물량 중 일부가 미 물류업체 UPS의 수송기에 실리고 있다./AP 연합뉴스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배포가 13일(현지시간) 시작된 가운데 백신 개발을 책임진 당국자는 내년 3월까지 1억 명의 미국인이 면역력을 갖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정부의 백신 개발을 총괄하는 팀 ‘초고속작전’의 몬세프 슬라위 최고책임자는 이날 폭스뉴스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슬라위는 연말까지 약 4,000만 도즈(dose)의 백신을 미 전역에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이날 배포가 시작된 제약회사 화이자의 백신과 이달 중 긴급사용 승인이 날 것으로 예상되는 모더나의 백신 배포 물량을 합친 것이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 2회 접종해야 면역력이 생기기 때문에 연내 배포할 계획인 4,000만 도즈는 2,000만 명이 접종할 수 있는 분량이다. 슬라위는 내년 1월과 2월에도 5,000만~8,000만 도즈의 백신이 매달 배포될 수 있다고 예상하며 “우리는 내년 1분기까지 1억명이 면역력을 갖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국 코로나 백신 확보 물량 gif


또 미국이 집단면역을 형성하려면 75∼80%가 면역력을 가져야 한다면서 내년 5∼6월 사이에 이 지점에 도달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슬라위는 존슨앤드존슨 백신이 1월 말이나 2월 초,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2월 말께 긴급사용 승인을 받을 것이라며 미국이 충분한 백신을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을 반박했다.

미국 미시간주 포티지의 화이자 제약공장에서 지난 13일(현지시간) 직원들이 화이자ㆍ바이오앤테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운송 상자에 드라이아이스를 넣고 있다./AP 연합뉴스미국 미시간주 포티지의 화이자 제약공장에서 지난 13일(현지시간) 직원들이 화이자ㆍ바이오앤테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운송 상자에 드라이아이스를 넣고 있다./AP 연합뉴스


특히 그는 “대부분 미국인이 백신을 맞기로 결정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리가 보는 머뭇거림을 매우 우려한다”고 말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백신 접종에 부정적인 응답을 한 미국인이 적지 않은 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정치전문매체 더힐에 따르면 스티븐 한 미 식품의약국(FDA) 국장도 ABC뉴스에 출연해 일부 미국인의 백신 저항감은 중요한 문제이며 이 공포와 우려를 대처하기 위해 당국자들이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이 터널의 끝에서 빛을 보고 이를 통과하는 방법은 집단면역을 달성하는 것”이라며 “이는 머뭇거리는 이들을 포함해 이 나라에서 매우 많은 사람을 접종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사람들에게 신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 일을 전개하고 동시에 투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FDA가 지난 11일 백신을 긴급승인하는 과정에서 백악관이 압력을 가했다는 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미 언론은 마크 메도스 백악관 비서실장이 한 국장에게 전화해 사표를 각오하라는 식으로 압박했다고 보도했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에서 “한 국장, 그 망할 백신을 내놓아라”라고 하기도 했다.

슬라위는 “만약 그 전화가 있었다면 이는 쓸모없고 유감스러운 일이었다고 생각한다”며 “일부의 트윗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다만 한 국장은 전날 화상 기자회견에서 “백신은 FDA의 철저한 기준을 충족했다”며 외압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지웅배 인턴기자 sedation@sedaily.com

지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