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나이지리아 피랍 학생 344명 풀려나

일주일만에 정부 보안군에 인계

납치 이유 '서구 교육' 밝혔지만

몸값 노린 범행이라는 분석도

보코하람이 제공한 영상에서 피랍 소년들이 미공개 장소에 모여 있다. /AP연합뉴스보코하람이 제공한 영상에서 피랍 소년들이 미공개 장소에 모여 있다. /AP연합뉴스



최근 나이지리아 북서부 카트시나주에서 무장 괴한들에게 납치된 10대 남학생 340여 명이 피랍 일주일 만에 풀려났다고 로이터통신과 AP통신 등이 17일(현지 시간) 전했다.

카트시나 주지사는 현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풀려난 344명의 학생이 정부 보안군에게 인계돼 현재 카트시나로 돌아오고 있다”며 “피랍 학생 대부분이 풀려났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카트시나에서 건강 상태를 점검받은 뒤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게 된다. 지난 11일 나이지리아 북서부 카트시나주에서 남학생 기숙학교인 정부 과학중등학교에 AK-47 소총으로 무장한 괴한들이 들이닥쳐 소년 340명가량을 끌고 갔다. 800명 넘는 전체 학생 가운데 다른 학생들은 담장을 넘어 숲으로 달아나 무사했다.


사건 직후 보코하람 지도자를 자처한 아부바카르 셰카우가 왓츠앱 메시지로 로이터통신에 보낸 음성 파일에서 자신의 단체가 이번 납치극의 배후라고 주장했다. 보코하람은 AFP통신에도 이번 사건이 자기들 짓이라고 했다. 납치 이유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서구식 교육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셰카우는 메시지에서 “카트시나에서 일어난 일은 이슬람을 진작시키고 비이슬람적 관행을 막기 위한 것”이라며 “서구 교육은 알라와 그의 신성한 예언자가 허용하지 않은 교육”이라고 강변했다. 보코하람은 현지 방언인 하우사어로 ‘서구 교육은 금지됐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이번 납치가 몸값을 노린 범행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보코하람 측이 학생들의 몸값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피해 부모들은 시간이 별로 많지 않다면서 정부의 협상을 촉구했다. 이후 나이지리아 정부는 납치 이후 보코하람과 협상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코하람은 어린 학생들을 납치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은 단체다. 보코하람은 2014년 북동부 치복타운에서 276명의 여학생들을 납치한 데 이어 2018년에는 북부 다프치타운에서 또 다른 여학생 110명을 납치한 바 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