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일각서 김동연 서울시장 차출론…컨벤선 효과 고심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연합뉴스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4·7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3개월여 앞두고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차출론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예비후보에 더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금태섭 전 의원까지 가세하면서 판이 커지고 있는 야권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아직 출마선언을 하기 전이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민주당 유력 후보인 박영선 중소기업벤처부 장관 정도 외에 안 대표에게 여권 주자들이 크게 밀리는 여론조사가 나오는 것도 이른바 ‘제3후보’에 대한 필요성을 키우고 있다. 이에 당내에서 김 전 부총리를 서울시장 예비후보로 거론되고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현재 민주당에서는 우상호 의원만 출마를 공식화한 상태다. 출마가 유력시되는 박영선 장관은 다음 개각으로 내각에서 물러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지만 불출마 관측도 없지 않다. 박주민 의원은 최근 불출마 쪽으로 기울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관련기사



이렇게 되면 컨벤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지 않느냐는 우려가 나온다. 10명 안팎의 후보가 다투면서 흥행몰이에 나선 야권과는 크게 대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권 일각에서 김 전 부총리가 거론되는 이유도 이런 배경에서다.

김 전 부총리는 상고와 야간대학을 졸업한 뒤 행시에 합격, 기획재정부에서 요직을 거치며 부총리까지 지낸 매력적인 스토리를 가진 인물이다. 현 정부에서 부총리를 지내면서 최저임금 인상, 소득주도성장 등 주요 경제정책에 대해 소신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런 김 전 부총리가 출마한다면 중도 진영으로의 확장성을 기대해볼 수 있다.

김 전 총리 본인도 최근 일부 여당 의원과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리지만 정확한 입장 표명은 없는 상태다. 정치신인으로서 가산점이 있기는 하지만 조직이 없다는 ‘경선 리스크’가 부담스러운 대목이기 때문이다.

김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