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작년 농식품 수출액 역대 최고… 김치·라면 수출 약 30%↑

■2020년 농식품 연간 수출액 잠정치

전년보다 7.7% 증가해 약 8조원 이상 수출

지역별 수출액 美 38%, 신남방 9.1% 증가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김치와 라면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인 75억7,000만달러(약 8조2,000억원)를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0년 농식품 연간 수출액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많은 75억7,000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전년보다 7.7% 증가한 수치다. 김치·인삼류 등의 수출 증가로 신선 농산물 수출액은 전년보다 3.4% 늘어난 14억3,000만달러에 달했다.


특히 김치는 제품 현지화, 기능성 홍보 등의 영향으로 3·4분기 만에 이미 수출액 역대 최고치를 찍었고 연간으로는 전년보다 37.6% 늘어난 1억4,450만달러 어치를 수출했다. 인삼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미국·중국·일본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 2억2,980만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샤인머스켓 수출 호조로 포도(32.5%)도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고 미국 현지 기호를 반영한 제품의 인기로 유자차(31.9%) 수출액은 처음으로 5,000만달러를 넘어섰다.

관련기사



/서울경제DB/서울경제DB


라면·쌀 가공식품 등 간편식품의 성장으로 가공식품 분야 수출액도 전년보다 8.8% 증가한 61억4,000만달러를 달성했다. 라면은 현지 입맛에 맞는 제품 판촉·홍보 등에 힘입어 처음으로 6억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가공 밥·떡볶이·죽 등 가정 간편식의 인기로 쌀 가공식품의 수출액은 역대 최고치인 1억3,760만달러를 달성했다. 장류는 한국 식문화의 인기를 타고 30.6% 늘어난 9,990만달러를 수출했다.

국가(권역)별로는 미국과 신남방 지역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라면·김치·쌀 가공식품 등 신선식품과 가공식품의 수출이 고르게 늘며 대미 수출액은 전년보다 38.0% 증가한 12억1,000만달러에 달했다. 미국은 중국을 제치고 2위 농식품 수출 대상(001680)국으로 올라섰다. 신남방정책에 따른 한류 마케팅 등으로 라면·고추장 등 한식 요리법이 인기를 얻고 코로나19로 가정식 수요가 늘면서 신남방 수출액은 전년보다 9.1% 증가한 15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도 농식품 수출의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별·품목별 온·오프라인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고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지난해의 성과를 이어갈 수 있게 연초부터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