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네시스 전량 외국산 장착에 타이어업계 정부에 SOS..."국산도 고급차에 기회 달라"

최근 국산 고급 승용차에 외국산 타이어 전량 채택 영향...정부에 건의

외국산 30% 비싸고 AS도 불편해 소비자 불만...자국산 타이어 보호정책 必


현대·기아차 등 국내 완성차업체가 생산하는 자동차에 국산 타이어가 많이 사용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해달라고 타이어 업계가 정부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 수출 산업인 자동차와 타이어가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취지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타이어산업협회는 지난달 말 산업통상자원부에 "국산 중대형 고급승용차 출고 시 국산타이어 장착 기회를 제공해 소비자 후생이 증대되도록 지원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외국산 타이어의 국내 판매 비중은 2016년 8.2%에서 2019년 18.1%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반면 국산 타이어가 완성차업체에 공급하는 신차용 판매(OE) 비중은 2017년 32.8%에서 작년 1∼10월 기준 23.6%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이는 최근 국산 고급 승용차의 외국산 타이어 전량 채택 등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협회는 설명했다. 과거 일부 고급 브랜드 대형차에만 장착되던 외국산 타이어는 2019년부터 출시된 현대차 쏘나타, 기아차 K5 등 중형 이상급 차량 대부분에 장착됐고 작년 말 출시된 제네시스 GV70에도 18인치 브리지스톤, 19인치 미쉐린 등 전량 외국산 타이어가 장착됐다.

협회는 "외국산 타이어는 국내산 동급 타이어보다 최소 30% 이상 비싸고 애프터서비스(AS)도 불편해 소비자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며 "고급 중대형 승용차에 외국산 타이어와 국산 타이어를 모두 채택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타이어./한국타이어 제공한국타이어./한국타이어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국내 타이어 산업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세계 각국이 자국산 타이어 보호정책을 시행하는 추세인 만큼 국내 연관 산업이 협력해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달라는 것이 협회의 요구다. 산업부도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해달라는 취지의 공문을 최근 현대·기아차 등에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현재 미국은 한국 등 4개국에서 수입되는 타이어에 반덤핑관세·상계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인도는 종전의 수입 신고제에서 수입 허가제로 변경해 수입을 사실상 규제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반덤핑 예비판정을 통해 한국타이어 38.07%, 넥센타이어 14.24%, 기타(금호타이어) 27.81%의 추가 관세율을 산정했다.

이번 관세율은 오는 5월 13일 상무부의 최종 결정, 6월 28일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최종 결정을 거쳐 7월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예비 결정에서 부과된 추가 관세는 상무부 관보에 정식 공고되는 이달부터 부과된다.

협회는 일단 바이든 정부 출범 등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반덤핑 관세율 조정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추후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한국타이어는 인도네시아 공장에서의 미국 수출을 늘리고, 넥센타이어는 가동률이 낮은 유럽공장에서의 미국 수출을 고려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웅배 인턴기자 sedation123@sedaily.com

지웅배 인턴기자 sedation123@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