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이란기업 15곳 무더기 제재…트럼프 몽니에 바이든 또 '난색'

바이든 관계 개선 계획에 차질

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 장관 /EPA연합뉴스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 장관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란 기업에 경제 제재를 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5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출범 이후 이란 핵 합의를 탈퇴하면서 제재를 복원한 트럼프 행정부가 임기 말까지 이란에 대한 압박을 이어가며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취임 이후 이란과 관계 개선에 나서려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재무부는 이날 철강 및 금속 제조 업체 12개사와 해외 판매 대행사 3곳 등 이란 기업 15곳을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재무부는 이란에 철강 자재를 공급한 중국 기업 1곳도 제재한다고 덧붙였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이란 업체 12곳에는 중동광산및광물산업개발지주(MIDHCO) 등이 포함됐고 MIDHCO의 독일·중국·영국 자회사 3곳도 제재 대상에 올랐다. 이번 제재는 이란 정부에 주요 수익을 창출하는 일부 경제 분야를 제재할 수 있도록 한 행정명령 13871호에 따른 것이라고 미 재무부는 설명했다.


미 재무부는 금속 경제 분야가 이란 정권의 주요 수익원이라면서 이는 부패한 지도자들의 부를 창출하는 동시에 대량살상무기 확산, 외국 테러 단체 지원, 인권유린을 포함한 다양한 범죄 활동의 자금원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 장관은 성명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이란 정권이 테러 집단을 지원하고 압제 정권을 지지하며 대량살상무기를 계속 추구함에 따라 이란 정권에 유입되는 수익을 차단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번 제재는 양국의 갈등이 정점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지난해 11월 이란 핵 과학자가 이스라엘의 모사드로 추정되는 세력에 살해되자 이란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보복을 다짐했고 이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미국 대사관을 노린 것으로 추정되는 로켓탄 공격이 이뤄졌다. 미국은 전략폭격기와 항공모함을 띄우며 이란을 견제했다.

양국의 긴장 관계는 핵 합의 탈퇴를 비판하고 취임 이후 복귀 의사를 밝힌 바이든 당선인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AP통신은 “이란의 도발적인 움직임과 퇴임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일관성 없는 행동으로 대통령 당선인은 더 불확실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