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당시 공로를 세워 무공훈장 수여가 결정됐지만 긴박한 전장 상황 등으로 당시 훈장을 받지 못한 호국영웅들 가운데 6,200여명이 지난해 뒤늦게 훈장을 받았다.
6일 국방부에 따르면 6·25전쟁 때 실물 훈장과 증서를 받지 못한 참전용사는 5만6,000여명이며, 이 가운데 수훈자 또는 유가족 6,238명을 찾아 지난해 훈장을 전달했다.
국방부는 2019년부터 지방자체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6·25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을 벌이고 있으며, 사업 첫해에는 736명의 훈장을 찾아 줬다.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은 육군인사사령부 ‘6·25 무공훈장 찾아주기 조사단’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조사단은 아직 훈장을 받지 못한 4만9,000여명을 찾고 있다.
육군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으로 지자체 등 행정관서 탐문 활동에 제한이 많다”며 “특히 훈장 수훈자나 유족에게 전화를 하면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로 오해해 연락을 받지 않는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훈장을 받지 못한 호국영웅을 찾기 위해 지자체와 유관기관 등과 함께 홍보를 하고 있다”며 “6·25 무공훈장 찾아주기 조사단 전화로 문의하면 훈장수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행정안전부와 국가보훈처, 병무청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8월 외할아버지인 고 안기호 일병의 훈장을 뒤늦게 전달받은 최수정씨는 “할아버지가 6·25 참전용사인 것은 알고 있었지만 전쟁 당시 공을 세워 훈장을 받게 돼 더욱 자랑스러웠다”며 “할아버지가 2003년에 돌아가셨는데 생존했을 때 훈장을 받았으면 더욱 좋았겠지만 늦게라도 훈장을 찾아준 정부에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
6·25전쟁 참전자는 참전유공자로 등록돼 명예수당(월 34만원)과 보훈병원 진료지원, 사후 호국원 안장 등의 혜택을 받는다. 참전유공자가 무공훈장을 받으면 사후 호국원이 아닌 국립현충원에 안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