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지난 1년간 피해를 입은 기업이 10곳 중 8곳에 이르고 그중 4곳은 비상경영을 시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국내 업체 30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해 31일 발표한 ‘코로나사태 1년, 산업계 영향과 정책과제’에서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 사태가 미친 영향에 대해 응답기업의 75.8%는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생존까지 위협받았다’고 응답한 기업도 8.3%에 달했다. 반면 사업에 ‘다소 도움이 됐다’는 응답기업은 14.6%, ‘좋은 기회였다’는 기업은 1.3%에 불과했다.
생존위협이나 피해를 입은 기업 10곳 중 4곳은 비상경영을 시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경영에 들어간 이유로는 ‘매출급감(79.0%)’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취한 조치로는 ‘임금감축 등 경비절감(71.9%)’, ‘휴직?휴업(50.0%)’이 많았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한국경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역성장 폭이 가장 적을 정도로 선방했지만 이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특단의 부양조치가 작용한 덕분”이라면서 “변종 코로나 확산, 미·중 갈등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고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여전히 많아 이에 대한 대비를 지속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코로나 사태 종식 이후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지에 대해 ‘대응중’ 또는 ‘계획 마련중’인 곳이 59.6%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71.8%가 대응을 추진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52.6%만이 변화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기업이 추진하는 방안으로는 ‘신사업 강화(26.7%)’가 가장 많이 나왔고 ‘변화모니터링 확대(25.0%)’, ‘사업의 디지털전환(19.4%)’, ‘친환경경영 강화(13.9%)’, ‘공급망 다변화(12.8%)’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올해 기업경영 성과를 좌우할 중요 변수로는 ‘코로나 백신 보급과 면역 형성(36.4%)’과 ‘금리?환율 변동(22.2%)’이 과반수를 넘었고 이어 ‘기술패러다임 변화(16.9%)’, ‘국내 정책동향(16.6%)’, ‘글로벌교역 환경(7.9%)’의 순이었다.
끝으로 기업들은 정부의 코로나사태 대응 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57.7%가 ‘적절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고, 현재 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자금과 세제지원(64.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코로나 이후 대응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자금?세제 지원정책 지속(49.7%)’, ‘신산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13.6%)’, ‘법·제도 합리화(11.9%)’ 등을 들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지난해는 갑작스런 코로나 불황속에 생존을 고민했던 시기라면 올해는 위기극복 정책을 지속하면서 미래를 위한 성장기반도 확충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코로나가 촉발한 비대면·온라인 트렌드를 전통산업에 접목하고 친환경확산과 GVC재편 등의 시대적 조류에 따른 산업재편·신산업 육성을 위한 적극적 조치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희윤 기자 heeyou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