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일본 코로나 긴급사태 한달 연장...하루 확진자 1,000명대로 뚝

내달 7일까지 연장 결정 후 상황 개선되면 조기 해제 방침

신규확진 42일 만에 1,000명대…스가 총리 "당분간 경계 필요"

'외국인 입국 금지·여행장려 정책 잠정 중단' 조치 유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가 발효되고 4번째 주말을 앞둔 지난달 29일 일본 도쿄 신주쿠 거리가 마스크 쓴 행인들로 붐비고 있다. /교도연합뉴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가 발효되고 4번째 주말을 앞둔 지난달 29일 일본 도쿄 신주쿠 거리가 마스크 쓴 행인들로 붐비고 있다. /교도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도쿄도(都) 등 11개 광역지역에 발효해 놓은 긴급사태를 한 곳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연장한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후 스가 요시히데 총리 주재의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연장안을 정식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아사히신문과 NHK방송 등에 따르면 오는 7일까지 시한으로 한 달간 긴급사태가 먼저 발효된 도쿄, 가나가와, 사이타마, 지바 등 수도권 4개 광역지역과 차후 확대 발효된 오사카, 교토, 효고, 아이치, 기후, 도치기, 후쿠오카 등 7개 지역 가운데 도치기현을 제외하고는 모두 연장된다.

이로써 일본의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 중 10개 지역에서 코로나19 긴급사태 상황이 이어지게 됐다.



일본 정부는 긴급사태 연장에 맞춰 여행 장려 정책인 '고 투(Go To) 트래블' 사업 잠정 중단 및 외국인 입국 전면 금지 조치도 유지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일단 긴급사태 연장 기간을 내달 7일까지로 잡고, 그 전에 감염 상황이 호전되면 조기 해제를 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긴급사태가 선포되면 해당 지자체는 주민과 기업 등에 불필요한 외출 자제, 영업시간 단축, 이벤트 개최 제한, 재택근무 확대 등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할 대책 이행을 요구하고, 관련 시책을 펴는데 필요한 재정 지원을 중앙정부로부터 받는다.

스가 총리는 전날 밤 관저에서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 등 관계부처 각료들과 긴급사태 연장 문제를 논의한 뒤 취재진에 "신규 감염자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당분간은 경계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긴급사태 연장 방침을 시사했다.

정부 전문가 자문위원회의 오미 시게루 회장은 중의원 내각위원회에서 "지역별로 보면 아직 감염 수준이 높고, 의료 압박도 변함없이 계속되고 있다"며 긴급사태 연장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한편 일본 전역에서 확인된 신규 감염자는 40여 일 만에 2,000명 선 아래로 떨어졌다. NHK 집계에 따르면 전날 신규 확진자는 1,792명으로, 작년 12월 21일(1천806명) 이후 42일 만에 1,000명대를 기록했다. 누적 확진자는 39만2,475명으로 늘었고, 사망자는 80명 증가해 5,846명이 됐다.

일본의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는 올해 첫 긴급사태가 발효한 지난달 8일 7,800명대로 가장 많이 나왔다.

이후 긴급사태 효과로 점차 줄기 시작해 지난달 25일 3,000명 선 아래로 떨어지고 1주일여 만에 다시 2,000명 선을 밑돌았다.

확산세가 가장 심했던 지난 1월 한 달간의 감염자는 15만4,247명, 일평균 감염자는 4,975명으로 집계돼 작년 1월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각각 최다를 기록했다.

/김기혁 기자 coldmetal@sedaily.com


김기혁 기자 coldmeta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