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우리 대학도 논문 중심에서 탈피해 ‘기업가적 대학’으로 패러다임 혁신을 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과 중국이 치열한 글로벌 패권 다툼을 벌이며 과학기술에서 경쟁하는 상황에서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는 대학들이 기술이전과 창업 등 기술 사업화에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대학에 대한 규제를 과감히 풀어 ‘파괴적 혁신’이 가능하도록 뒷받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서울경제가 지난 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공학한림원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겨냥해 ‘대학의 기술 사업화, 국가 성장 동력의 핵심’을 주제로 실시한 온라인 토론회에서 정진택 고려대 총장, 신동렬 성균관대 총장, 김우승 한양대 총장, 이용훈 UNIST 총장 등 공대 출신 총장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총장들은 대학이 연구개발(R&D) 기획 단계부터 사회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보고 성과물을 어떻게 사업화할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총장들은 “대학의 논문·특허·기술이전이 양적으로는 증가했지만 여전히 추격형 연구나 정부 R&D에 그치고 있다”며 “‘논문을 위한 논문’ ‘특허를 위한 특허’는 더 이상 발붙이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진택 고려대 총장은 “교원들이 진행한 R&D의 상용화 비율은 2%가 채 되지 않는다”며 “R&D 설계부터 상용화를 최우선하는 융복합 연구에 주안점을 둬야 한다"고 역설했다. 신동렬 성대 총장은 “병원을 활용해 바이오에 인공지능(AI)을 융합하는 등 기업가적 대학으로 변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우승 한양대 총장은 “차별화된 기술 사업화를 추진해 산학 협력의 롤모델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용훈 UNIST 총장은 "UNIST 교원들은 창업 후 5년간 급여를 보장 받고 학생들에게도 다양한 창업 지원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총장들은 이날 기술 사업화 활성화를 이루려면 필요한 규제만 열거하고 나머지는 모두 푸는 네거티브 규제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또 산학 협력 시 기업뿐 아니라 학교도 특허권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바꿔야 한다고 요청했다. 아울러 자율주행차 등 범부처 R&D 과제의 경우 연구를 이끌어 갈 리더십 확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