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보다 빠른 경기 회복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미 국채금리가 치솟는 가운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3~24일 미 의회 청문회에 선다. 완화적 통화정책의 기조가 바뀔 일은 없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입장과 장기채권 매입 가능성에 대한 힌트를 줄지 주목된다.
21일(현지 시간) 미 경제 방송 CNBC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23일 오전 10시 미 상원 은행위원회에 반기 통화정책 보고서를 제출하고 청문회에 출석한다. 24일에는 하원에서 증언할 예정이다.
시장의 관심은 국채금리와 인플레이션이다. 이날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한때 연 1.390%까지 올랐다. 이달 초 1.07%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한 달도 안 돼 0.32%포인트나 급등한 셈이다. 지난달 미국 소매 판매가 전달 대비 5.3% 급등하고 생산자물가가 1.3% 올라 지난 2009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결과다.
지금까지 파월 의장은 2% 넘는 물가 상승률을 당분간 용인하겠다는 뜻을 수차례 밝혀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접객과 여행 등에서 수요 증가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이며 1970년대식의 높은 물가 상승은 없을 것이라는 점도 강조해왔다. 최근 재닛 옐런 재무장관도 1조 9,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코로나19 부양책 통과를 요구하면서 인플레이션을 걱정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고려하면 파월 의장은 이번 의회 증언에서도 같은 주장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말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도 긴축 얘기는 시기상조라며 물가와 고용 목표 달성까지 갈 길이 멀다고 설명했다. 투자 전문지 배런스는 “시장에서는 향후 5년 동안의 인플레이션 평균치가 2018년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며 “코로나19에 따른 공급 부족과 적극적인 재정·통화정책에도 문제가 되는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시각이 많다”고 전했다.
중요한 것은 국채금리 상승세가 쉽게 꺾일 것 같지 않다는 점이다. 코로나19 부양책 외에 바이든 정부는 3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연구개발(R&D) 투자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채권 수익률 상승은 모기지 대출금리를 비롯해 증시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 금리 상승이 시장을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 전문가들은 연말에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2% 안팎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브래드 맥밀런 코먼웰스파이낸셜네트워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시장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통제되고 다시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고 본다”며 “그에 따른 결과로 더 높은 금리를 예측하기 시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파월 의장이 의회 청문회에서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는 수준을 넘어 다른 판단이나 입장을 내놓을지가 관심사다. 그동안 월가에서는 10년 만기 채권금리가 오르면 연준이 장기채권 매입 비중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이 많았다. 다만 경기 회복세가 뚜렷한 만큼 중장기적으로는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의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추가 부양책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해온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에 “연준이 내년에 금리를 올릴 것 같다”고 예측했다.
이와 별도로 파월 의장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비트코인과 증시 거품을 언급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susop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