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 '여야 LH 특검 합의'에 불편한 속내…"수사에 최선 다할 것"

특수본 수사 후순위로 밀릴까 촉각

일선 관계자 "실제 특검 수사까지 상당 기간 소요…옥상옥 우려"

경기남부경찰청 부동산 투기사범 특별수사대가 15일 오후 시흥시의회 A의원 투기 의혹 관련 경기도 시흥시의회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경기남부경찰청 부동산 투기사범 특별수사대가 15일 오후 시흥시의회 A의원 투기 의혹 관련 경기도 시흥시의회 압수수색을 마치고 압수품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정치권에서 1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들로부터 촉발된 부동산 투기 의혹을 파헤칠 특별검사 도입에 합의한 것과 관련해 경찰 내부에서는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고 있다.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무려 770명으로 구성된 정부 합동 특별수사본부(이하 특수본)를 구성한 상황에서 정치권이 특검을 도입하면서 자칫 특수본의 수사가 후순위로 밀릴 것에 대해 우려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날 특수본 고위 관계자는 “정치권의 특검 도입에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우리는 해오던 수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소 당혹스런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실제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정세균 국무총리의 지시에 따라 지난 10일 공룡급 특수본을 구성했다. 특수본에는 18개 시도경찰청 경찰관은 물론이고 국세청·금융위원회·한국부동산원 파견 인력도 포함됐다.

경찰은 특수본 구성 하루 전인 지난 9일 경남 진주 LH 본사와 LH의 수도권 사업본부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15일에는 투기 의혹이 제기된 시의원·공무원·공공기관 직원 등에 대해 전국 동시다발적 압수수색에 나섰다.

특수본의 중심인 경찰청 국수본은 검경 수사권 조정에 따라 올해 들어 신설된 조직이다. LH 임직원의 이번 부동산 투기 의혹은 국수본이 칼자루를 쥔 첫 대형 사건이다. 특히 경찰은 이번 사건을 철저히 수사해 정권의 눈치를 본다는 세간에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겠다는 각오로 수사에 임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여야가 이제 막 특검 도입에 대한 공감대만 형성했을 뿐 실제 특검이 구성되고 수사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며 “경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특검을 구성하는 것은 옥상옥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prodig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