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고교 축구클럽 집단감염에...정부, 사설 운동클럽 전수 점검

축구·야구 클럽팀 641곳부터 우선 추진

축구클럽에서 코로나 19 집단 감염이 발생한 서울 강동구 소재 고등학교 모습./연합뉴스축구클럽에서 코로나 19 집단 감염이 발생한 서울 강동구 소재 고등학교 모습./연합뉴스







서울 강동구 소재 고등학교 축구클럽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하자 정부가 17개 시·도별 사설 운동클럽팀 전수 점검에 나선다.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계부처 협력팀(TF)을 구성하고 지방자치단체·교육청·종목별 경기단체 등은 17개 시·도별로 현장 점검반을 구성해 사설 축구·야구 클럽팀 641곳에 대한 전수 점검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방과 후 축구 활동에 참여하던 서울 강동구 고교 축구클럽에서 학생 25명(15일 기준)이 무더기로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은데 따른 것이다.

관련기사



확진자 중 축구클럽 소속 선수가 24명, 일반 학생이 1명이었다. 학생 확진자의 가족 중 확진된 사례도 5명에 이른다. 교육 당국은 학생 선수들이 개학 후 오랜 시간 운동, 숙박, 식사를 함께하는 과정에서 감염 전파가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학교가 직접 운영하는 운동부는 학교체육진흥법에 따라 학기 중 합숙 훈련을 하지 못하도록 권고받지만, 해당 학교는 외부기관에서 축구부를 운영하는 사설 운동클럽 형태여서 관련 법 적용을 받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에 놓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종목별 경기단체를 통해 파악한 결과 해당 고교와 같이 사설 운동클럽을 운영하는 곳은 축구 종목에서 551곳, 야구 종목에서 90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점검을 통해 정부는 사설 클럽팀이 훈련 과정과 숙식 전반에서 방역 지침을 준수하는지 살펴볼 방침이다. 위반 사항이 드러날 경우 관련 법에 따라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정부는 다른 종목으로도 점검을 확대할 계획이다. 함영기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은 “사설 클럽팀에 소속된 학생 선수들이 안전하게 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TF와 사전 논의를 거쳐 사설 종목별 클럽에 대한 관리 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hooni@sedaily.com


한동훈 기자 hoon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