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결국 中서 ‘팽’ 당하나…軍·국유회사서 테슬라 차 사용 제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 AFP연합뉴스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 AFP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주요 기관과 기업에서 미국 테슬라 전기차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중국에 외국인 투자가 쏟아지면서 그동안 ‘투자 우등생’ 대우를 받던 테슬라가 ‘토사구팽’ 당한다는 지적이다. 테슬라는 스파이 행위를 부인했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중국군과 국유회사, 항공우주 등 주요 산업분야의 직장과 자택에서 테슬라 차 사용을 금지했다. 이러한 조치는 몇주 전에 내려졌으며 중국 당국이 테슬라 차의 전자장비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테슬라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것이 유출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테슬라 차에는 외장 및 내부 카메라, 초음파센서, 레이더 등이 있다.

관련기사



이러한 보도에 대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중국발전포럼(CDF) 화상 연설에서 “테슬라 차량이 중국을 비롯한 어디서든 스파이 활동에 쓰였다면 우리는 (공장) 문을 닫을 것”이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중국 정부의 테슬라 규제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초에도 테슬라 관계자를 소환해 중국 법규 준수와 내부 관리 강화에 대한 불만사항을 전달하고 질책한 바 있다. 이번 차량 사용 규제는 한발 더 나간 것이다.

최근 중국에 외국인 투자가 집중되면서 테슬라의 효용가치가 떨어졌다는 지적도 있다. 테슬라는 미중 무역전쟁이 한창이던 지난 2019년 상하이 자동차 공장에 투자해 중국 정부의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이후 테슬라에 대한 특혜가 이어졌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급속한 진정과 함께 지난해 중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작년대비 4%가 늘었다. 올해 1~2월도 31% 증가했다.

SCMP는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 대치 등 미중 관계가 경색되는 상황에서 테슬라에 대한 중국의 잇단 조치가 나왔다”고 전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