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19 사태 여파에 지난해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줄고 자전거 이용 늘었다

서울시 '데이터에 담긴 서울교통 2020' 발간

/자료 = 서울시/자료 = 서울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지난해 서울시에서 버스·지하철 이용은 전년 대비 줄고 자전거 이용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교통(버스·지하철) 총 이용 건 수는 34억 건으로 전년보다 25.9% 감소한 반면 ‘따릉이’ 총 대여 건수는 2,370만 건으로 24.6% 증가했다. 서울시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등이 실시된 영향으로 분석했다.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의 시민 교통 이용 통계 정보를 담은 책자 '데이터에 담긴 서울교통 2020'을 발간했다.

서울시 자동차 등록 대수는 315만 7,361대로 전년보다 1.06%(3만 3,204대) 늘었다. 시내 교통량은 2019년 하루 1,058만 6,000대에서 지난해 하루 1,009만1,000대로 4.7% 감소했고 평균 통행 속도는 1년 사이 0.3km/h(23.8km/h→24.1km/h) 높아졌다.



시민 1명의 평균적인 대중교통 이용 패턴은 목적지까지 한 번 이동할 때 1,108원을 지불하고 1.25회 환승하며(환승 시간 6.7분), 총 32.9분(11.2km)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평균 지불 요금은 5원 증가했고 통행 거리는 0.1km 늘었으며 통행시간은 0.5분 줄었다.

관련기사



환승 없이 한 가지 대중교통 수단만을 이용해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1회 이용' 비율은 전년보다 4.3% 늘었다. 반면 다른 수단으로 갈아타는 '2회 이용'은 3.29% 감소했다. 서울시는 마을버스와 순환버스 이용 비율이 크게 줄어 단거리 이동 시 환승보다는 도보나 따릉이 등 개인용 이동 수단을 많이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교통 수단별 이용 횟수가 가장 많은 장손느 버스의 경우 강북구 미아사거리역 정류소(하루 8,158건), 지하철은 2호선 강남역(하루 6만 9,311건), 따릉이는 뚝섬유원지역 1번 출구 앞 대여소(하루 382건), 택시는 5호선 여의나루역 인근(하루 4,676건)이다.

행정동 간 이동이 가장 많은 경로는 버스의 경우 관악구 대학동→낙성대동, 지하철은 관악구 청룡동→서초구 서초2동, 택시는 강남구 논현1동→역삼1동, 따릉이는 강서구 방화1동→가양1동이다.

데이터에 담긴 서울교통 2020 책자는 다음 달 중 토피스 홈페이지에서 공개된다.

/박경훈 기자 socool@sedaily.com


박경훈 기자 socoo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