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고위험 자영업자 19.2만가구…채무상환능력 악화

고위험 자영업가구 보유 부채 76.6兆

한국은행 앞 /연합뉴스한국은행 앞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매출에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들의 채무상환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 자영업자의 경우 재무건전성 저하가 심각한 만큼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DSR)은 지난해 3월 37.1%에서 지난해 12월 38.3%로 1.2%포인트 상승했다. 당초 3월 말 종료 예정이었던 원리금 상환유예를 6개월 연장하는 등 정책 효과를 제외할 경우엔 42.8%까지 치솟는다.

관련기사



소득 대비 부채비율(LTI) 역시 지난해 3월 말 195.9%에서 12월 말 238.7%로 큰 폭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도소매, 운수, 숙박음식, 교육서비스 등 모든 업종에서 상승했을 뿐 아니라 특히 저소득층에서 상승폭이 높게 나타나는 모습이다.

자영업자 중에서도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12월 말 19만2,000가구로 금융부채를 76조6,000억원 보유하고 있다.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의 65%로 금융부채 기준으로 보면 15.2% 수준이다. 고위험가구는 DSR이 40%보다 높으면서 자산평가액 대비 총부채금액을 말하는 DTA가 100%보다 높은 가구를 말한다.

한은 관계자는 “12월 말 자영업자의 재무상황을 추정 분석한 결과 코로나19에 따른 매출충격 등으로 자영업자의 채무상환능력이 상당 폭 악화된 것으로 평가된다”며 “특히 저소득 자영업자의 경우 재무건전성 저하가 다른 소득계층보다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