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부도 조짐 보이는 위험기업 보유 여신 42兆

코로나 장기화되면 67兆까지 불어나

“금융지원조치 정상화 시 주의해야”

한국은행 앞 /연합뉴스한국은행 앞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지원이 늘어나면서 부도 조짐을 보이는 기업 수는 위험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여신은 크게 늘면서 42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금은 멀쩡한 기업들도 금융지원 조치가 정상화되거나 금리가 오를 경우 부도 위기로 내몰릴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상환위험기업 비중은 전체 대상기업 2,175개의 6.9%로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다. 상환위험기업은 이자보상배율 1 이상, 차입금상환배율 5배 이하, 부채비율 200% 이하 등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기업을 말한다. 2007~2019년 실제 부도가 발생했던 기업들의 부도 직전 7년 간 재무지표를 보면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돌고, 차입금상환배율이 5배를 초과할 뿐 아니라 부채비율도 200%를 초과한다.

관련기사



정부 지원 등으로 상환위험기업 비중은 줄었지만 위험기업이 보유한 금융여신 비중은 전체 대상기업 여신 403조 8,000억 원의 10.4% 수준인 42조원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대면서비스 부진 등의 영향으로 항공, 숙박음식 등에서 위험기업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여신 비중은 여신 규모가 큰 기계장비나 조선 등에서 높았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실적 부진이 지속될 경우 위험 기업은 8.1%, 위험 여신 비중은 16.6%로 큰 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지원 조치 정상화나 금리 상승 등으로 평균 이자비용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높아지는 경우 재무건전성이 비교적 양호한 기업 중 일부가 이자상환부담 증가 등으로 재무지표가 악화돼 위험기업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전반적인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되고 기업 간 차별화가 심화된다”며 “금융지원조치 종료 등으로 기업의 이자부담이 늘어날 경우 위험기업이 늘어날 가능성 있으므로 금융지원조치 정상화 시 취약 부문의 신용리스크가 한꺼번에 현재화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