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세계 백신공장' 인도 AZ 수출 중단에…"아프리카엔 파멸적 상황"

연말까지 '인구 35% 접종' 계획에도 백신 턱없이 부족

존슨앤드존슨, 4억회 분량 아프리카연합에 공급 예정

아프리카 가나의 마하무두 바우미아 부통령이 지난달 1일(현지시간) 수도 아크라의 한 병원에서 '코백스 퍼실리티'가 공급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신화연합뉴스아프리카 가나의 마하무두 바우미아 부통령이 지난달 1일(현지시간) 수도 아크라의 한 병원에서 '코백스 퍼실리티'가 공급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신화연합뉴스




'세계 백신 공장'으로 불리는 인도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수출을 일시 중단하면서 아프리카에서는 "파멸적인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존 응켄가송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 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인도의 AZ 백신 수출 중단에 대해 "아프리카 백신 접종 능력에도 분명히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아프리카연합(AU)은 올해 말까지 아프리카 인구 30~35%의 백신 접종을 마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하지만 인도의 수출 중단 조처로 이 목표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AU가 확보한 백신 물량은 대부분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에 의존하고 있다. 코백스는 세계 최대 백신 제조회사인 인도 세룸인스티튜트(SII)로부터 물량을 공급받는다. 하지만 최근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재확산세가 뚜렷해지자 인도 당국은 자국 내 백신 우선 공급을 위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수출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아프리카 가나의 경우 코백스를 통해 5월 말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40만회 분량을 공급받기로 돼 있었다. 그러나 아직 60만회분밖에 전달받지 못하는 등 이미 백신 수급에 차질이 빚어진 상황이다.

AU는 백신 수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백신 제조사들과도 공급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존슨앤드존슨은 올해 3분기부터 총 4억회 분량의 백신을 AU에 공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아프리카는 현재까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수가 약 425만명, 사망자수가 11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실제 숫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