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건설기계, 아마존웹서비스와 ‘건설장비 AI 고장 진단 기술’ 개발

국내 최초로 AI 기반 고장 진단 기술 개발 성공

굴착기에 ‘AIoT’ 모듈 탑재해 장비 이상 감지

윤영철(왼쪽) 현대건설기계 연구개발(R&D) 본부장과 함기호 AWS코리아 대표가 17일 서울 강남 AWS 코리아 본사에서 열린 ‘현대건설기계-아마존웹서비스 AI 스마트 건설장비 기술개발 성과발표회’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 제공=현대건설기계윤영철(왼쪽) 현대건설기계 연구개발(R&D) 본부장과 함기호 AWS코리아 대표가 17일 서울 강남 AWS 코리아 본사에서 열린 ‘현대건설기계-아마존웹서비스 AI 스마트 건설장비 기술개발 성과발표회’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 제공=현대건설기계




현대중공업그룹의 건설장비 계열사인 현대건설기계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국내 최초로 ‘AI 기반의 고장 진단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현대건설기계가 개발한 기술은 굴착기에 AI(인공지능)와 IoT(사물인터넷)를 결합한 ‘AIoT 모듈’을 탑재해 장비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장비의 이상 여부를 정밀하게 감지해내는 것이 핵심이다. 데이터가 축적될 수록 스스로 성능 발전이 가능하다. 이 데이터를 통해 장비의 고장 유형을 판별하고 수리에 필요한 부품도 추천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엔지니어는 원격으로 상황을 판단해 현장에 조치를 내릴 수 있다.

관련기사



일반적으로 건설장비는 장시간 과중한 작업 하중을 견뎌야 한다. 그러나 센서와 전조증상만으로는 장비결함을 감지하는 것이 어렵다. 예상치 못한 고장이 발생하기 쉽다. 이를 극복하려고 현대건설기계는 지난해 1월부터 AWS와 함께 AI 기반의 스마트 건설장비 개발에 매진했다.

윤영철 현대건설기계 R&D본부장은 “AWS와 함께 개발한 AI 기술을 건설장비에 도입해 진단과 수리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장비 가용시간은 극대화하는 최첨단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함기호 AWS 코리아 대표는 “AWS가 지닌 머신러닝 기술과 고객경험을 기반으로 현대건설기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현대건설기계는 향후 AWS와 협업을 지속해 음성인식 장비제어 기능을 개발 및 상용화하고, AIoT 모듈을 활용한 AI 기반의 안전기능도 더욱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서종갑 기자 gap@sedaily.com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