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바이오, 모더나 백신 생산한다…한미 백신기업 행사서 줄줄이 MOU 체결

美서 한미 백신기업 파트너십 행사 개최

삼성바이오-모더나, 위탁생산 계약 체결

SK바이오-노바백스 개발·생산 MOU 체결

산자부-모더나, 백신 투자 협력 MOU 쳬결

국립보건연구원-모더나, 연구 협력 MOU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위탁 생산 계약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연합뉴스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위탁 생산 계약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백신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와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방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한미 백신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이제 미국과 한국은 글로벌 백신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생산 기지를 확보하게 됐다”며 “나아가 동맹국과 개도국에 필요한 백신 수요를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전망했다. 이어 관계 부처를 향해 “양국의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데 최선을 다해주시길 바란다. 그리고 세계 최고의 백신 생산 허브로 나아가는데 있어서도 모든 역할을 다 해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의 모두발언 이후 행사에 참석한 한미 양국의 정부 기관과 기업간 위탁생산 계약 체결과 연구개발·생산에 대한 협력의향서(MOU) 체결이 연이어 성사됐다. 이날 행사에는 미국 보건부 장관과 한국 보건복지부 장관 및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정부 부처 관계자와 더불어 SK 대표이사 및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노바백스 대표이사, 모더나 CEO 등 기업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한미 백신 연구 개발 협력 MOU (워싱턴=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연구 개발 협력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문 대통령,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CEO,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 /연합뉴스한미 백신 연구 개발 협력 MOU (워싱턴=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연구 개발 협력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문 대통령,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CEO,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 /연합뉴스



우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와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해외에서 생산된 모더나 백신 원액을 국내에서 완제 충전해 생산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은 모더나 백신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국내 공급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아울러 보건복지부-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 간에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한 백신의 개발 및 생산에 대한 MOU를 체결했다. 노바백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백신, 독감 결합백신 등 차세대 백신의 개발과 SK바이오사이언스 시설을 활용한 생산 등을 위하여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나아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모더나 간에 모더나의 한국 투자 및 생산 관련 논의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MOU 내용은 모더나가 한국에 mRNA 백신 생산 시설 투자와 인력 채용을 노력하며, 한국 정부가 모더나의 한국 내 투자 지원과 비즈니스 활동에 협력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때 mRNA는 병원체 또는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을 생산하는 messenger RNA를 뜻한다.

한편, 한국 국립보건연구원과 모더나 간 감염병 질환에 대한 연구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MOU도 체결됐다. 현재 mRNA 백신 플랫폼은 높은 효능과 신속한 백신 개발 가능성으로 차세대 백신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높은 기술 난이도 등의 문제로 한국은 아직 관련 기술 향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워싱턴=공동취재단, 서울=김혜린 기자 rin@sedaily.com


워싱턴=공동취재단 서울=김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