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코로나로 보호무역주의 확산…하도급 中企, 체질 개선 필요"

[중기연구원 보고서]

국내 업종간 양극화 심화 분석

대기업 정보·인력 교류 등 제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국내 하도급 업체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3일 중소기업연구원은 보고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하도급 체계개편’을 내고 전 세계적인 공급가치사슬체계 변화가 국내 하도급 기업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19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보호무역주의가 확대되면서 글로벌 가치공급사슬이 개별 지역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연구원은 진단했다. 백훈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동안 개발형 글로벌 공급가치사슬체계에서 자국 중심의 폐쇄형 신보호주의가 확산되고 있다”며 “선진국들이 핵심산업은 내재화 하고 저기술 제품은 기존 글로벌 가치사슬을 활용하는 이원적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미국의 GM과 일본의 도요타 등 기업들은 일부 해외 공장을 철수하고 자국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했다.



이 같은 변화는 국내 중소기업의 업종간 양극화를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견기업의 수급기업(발주기업) 매출액 의존도는 2009년 76%에서 2018년 81%로 증가했다. 2차 하도급을 담당하는 소기업의 의존도는 같은 기간 76%에서 85%로 더 높아졌다. 이 때문에 대기업의 생산 방식 변화는 의존도가 심한 2차 하도급 업체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특히 산업 트렌드와 생산 방식 변화에 따라 대기업과 1차 하도급 기업은 혁신 활동에 속도를 내지만 2차 하도급 기업은 그렇지 못하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실제 LG전자의 1차 하도급 기업인 신성델타테크는 과거 플라스틱 사출기업에서 출발했지만 현재는 LG 전기차 배터리 부품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백 연구위원은 "하도급 1차 기업들은 발 빠른 경영혁신 변화를 구축하고 있지만 2차 기업들은 대응조차 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대기업과 직접적인 거래관계가 아닌 2차 이하 기업은 정보 부족으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중소기업연구원은 대기업과 하도급기업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플랫폼 구축과 대기업 퇴직인력 활용 등을 제안했다. 백 연구위원은 "대기업 퇴직인력을 활용해 신기술에 대한 시장성과 경제성에 대한 평가 참여도 고려할 수 있다"며 "대기업도 공개 가능한 기술과 경영 정보를 협력사들과 제공하며 중소기업은 생산제품, 기술 등을 함께 공유해 정보 교류를 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greenlight@sedaily.com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