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소비 역대 최고치에도… 반도체 꺾이자 전산업생산 1.1% 줄었다

■4월 산업활동동향

전산업생산, 11개월 만에 최대 폭 감소

삼성전자 평택2라인 반도체공장 전경./사진제공=삼성전자삼성전자 평택2라인 반도체공장 전경./사진제공=삼성전자




4월 소매판매지수가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반도체 생산이 꺾이자 전산업생산 역시 전월 대비 1.1% 감소했다.

31일 통계청의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4월 전산업생산 계절조정지수(2015년=100)는 111.4를 기록했다. 전산업생산지수는 지난 2월 111.6, 3월 112.6으로 증가 추세였으나 4월에는 전월 대비 1.1% 감소했다. 지난해 5월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다.



3월 반도체 생산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이다. 반도체는 생산지수는 전월 대비 10.9% 감소해 지난해 4월 14.7% 감소한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 생산지수는 5개월 연속 증가해 지난달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며 “이번 달에는 기저효과가 작용해 조정을 받았고 광공업생산과 전산업생산이 같이 기저효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소매판매지수는 1995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화장품 등 비내구재(2.4%), 의복 등 준내구재(4.3%),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0.7%) 판매가 모두 늘어 전월 대비 2.3% 증가했다. 따뜻한 날씨로 외부활동이 증가하고 소비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0.4% 증가했다. 운수·창고(-2.2%)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도소매(0.8%), 숙박·음식점(3.1%) 등에서 생산이 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영업제한과 집합금지 완화 효과가 지속되며 음식점업, 숙박업 등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수산업용 기계 등 기계류 투자가 3.0% 늘면서 전체 설비 투자도 3.5% 증가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준월 대비 1.1포인트 상승한 126.2로 나타났다.

/세종=박효정 기자 jpark@sedaily.com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