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김포공항 일대 초대형 복합시설 들어선다

<박원순표 도시재생 대수술>

보존 중심 도시재생 정책 폐기

재개발 연계형 주거재생 도입

창신·장위 등 재개발 길 열려

용산전자상가 등 쇠퇴 도심은

민간개발 유도해 신산업 육성

김포공항 추자장 부지 전경./서울경제DB김포공항 추자장 부지 전경./서울경제DB




오세훈 서울시장이 ‘벽화 그리기’로 지적받아온 전임 시장의 도시재생 정책을 사실상 폐기했다. 이에 따라 도시재생지구로 묶여 개발이 어려웠던 창신·숭인동, 장위11구역, 가리봉동 등이 재개발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정책 방향 전환으로 김포공항 일대 43만 ㎡ 대규모 가용 부지에 코엑스 규모와 맞먹는 컨벤션과 함께 업무 시설, 판매 시설들이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는 새로운 도시재생으로 오는 2026년까지 주택 2만 4,000가구를 공급한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그동안 보존에만 치우쳤던 도시재생을 개발과 정비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대전환하는 ‘2세대 도시재생’을 시작한다고 17일 밝혔다.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 주택 공급과 기반 시설 개선에 중점을 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도시재생 네 가지 유형(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일반근린형·거점확산형)을 노후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주거지 재생’과 지역 경제와 직결되는 ‘중심지 특화 재생’ 두 가지로 간소화했다.

우선 ‘주거지 재생’의 경우 기존 근린재생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일반근린형 24곳과 주거지지원형 8곳 등 총 32곳이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기반 시설 여건과 주민 갈등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재개발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재개발 가능 여부에 따라 △재개발연계형 △소규모주택정비형 △종합관리형 등의 유형으로 추진된다.



도시재생지역 중에서도 기반 시설이 너무 열악한 주거지는 민간 주도 재개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재개발연계형’이 도입된다. 창신·숭인동, 장위11구역 등이 대표 후보지로 거론된다. ‘소규모주택정비형’에는 서울시가 새롭게 도입하는 모아주택을 비롯해 가로주택·자율주택 등이 포함된다. 성북 장위, 양천 신월, 송파 방이 등 소규모 정비사업지가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종합관리형’은 한옥밀집지구·고도지역 등 도시계획적 규제로 재개발이 어렵고 도시의 정체성 강화 차원에서 보존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유형이다. 서촌이나 북촌, 성곽 주변 마을들이 해당된다.

관련기사





‘중심지 특화 재생’은 그동안 미미했던 민간 개발 활성화에 방점을 뒀다. 도심 내 이용이 저조한 대규모 부지, 쇠퇴한 시가지 등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경제거점육성형 △중심지활성화형 △지역자산특화형 등의 유형이 포함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경제거점육성형’은 대규모 민간 주도 개발과 도시재생이 혼합된 사업 방식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주변과 단절된 43만 ㎡ 대규모 가용 부지가 있는 김포공항 일대에서 시범 사업을 시작한다. 국내선 앞 주차장부터 메이필드호텔 앞 주유소까지 총 43만 ㎡ 규모 부지다. 모두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 기관인 한국공항공사가 소유한 땅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공항공사가 해당 부지 개발에 대한 염원이 컸다”며 “사무실 등 업무 시설, 판매 시설, 컨벤션을 기획하고 있다. 컨벤션은 코엑스 수준의 규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총 사업비는 2조 9,0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도심 내 쇠퇴한 시가지를 대상으로 기존 사업을 고도화하고 민간 개발을 통한 신산업 도입을 골자로 하는 ‘중심지활성화형’도 있다. 서울시는 용산전자상가 등 현재 추진 중인 중심지 도시재생사업지역을 대상으로 기존 공공사업을 추진하는 동시에 이해관계자 간 협의를 거쳐 민간 개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개발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 노희영 기자 nevermind@sedaily.com


양지윤 기자·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