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속보] 文 "日수출규제 위기에 韓저력 증명...기업인, 자립 앞장서야"

소부장 성과 간담회 참석..."기습공격 같은 부당 조치"

"위기 극복 성공 공식 찾아...소부장 매출 두배 증가"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열린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산업 성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열린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산업 성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019년 일본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수출규제에 맞대응한 결과 상당 부분 자립에 성공했다며 이를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일 서울 삼성동 한국무역협회에서 열린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 산업 성과 간담회’에서 “지난 2년 일본 수출규제와 코로나 위기를 연이어 겪으며 우리는 ‘위기에 강한 대한민국’의 저력을 증명해냈다”며 이 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규제를 “기습공격하듯이 시작된 부당한 조치”라고 표현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경제에 큰 충격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지만 우리 기업들과 국민들이 힘을 모아 위기를 극복해냈다”며 “오히려 핵심품목의 국내 생산을 늘리고 수입 선을 다변화하여 소부장 산업의 자립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계기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또 “지난 2년 우리는 상생과 협력으로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향해 전진했다”며 “무엇보다 기쁜 것은 우리가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협력의 방법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우리는 위기극복의 성공 공식을 찾았다”고 자신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아울러 “성과는 우리가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크고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3대 품목의 공급망이 안정적으로 구축되었다. 50%에 육박하던 불화수소의 일본 의존도를 10%대로 낮췄다. 불화폴리이미드는 자체기술 확보에 이어 수출까지 하게 되었다. 국내 산업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100대 핵심품목에 대한 일본 의존도를 25%까지 줄였다”며 “시가총액 1조 원 이상의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이 13개에서 31개로 크게 늘었다. 소부장 상장기업 매출액도 다른 업종의 두 배 가까운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뭐든지 자립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국제적인 분업체계와 공급망을 유지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해서도 외교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우리는 코로나 위기 상황 때에도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멈추고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을 경험한 바 있다. 지금도 세계적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경쟁이 이뤄지고 있다. 우리가 갖게 된 교훈은 글로벌 공급망 속에서 우리의 강점을 살려나가되, 핵심 소부장에 대해서는 자립력을 갖추고 특정 국가 의존도를 낮추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소부장 자립’의 길에 기업인들이 선두에 서야 한다며 정부도 뒷받침하겠다고 덧붙였다. 세부적으로는 ‘소부장 2.0 전략’을 토대로 ‘소부장 으뜸기업’ 100개를 육성하고 글로벌 생산 허브가 될 ‘5대 첨단 특화단지’를 조성할 것이라는 계획을 소개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