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경기 행복마을관리소 목표 초과달성…올해 81곳으로 확대





경기도가 행복마을관리소를 올해 애초 목표였던 76곳보다 5곳이 늘어난 81곳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5일 밝혔다.

추가 설치 의사를 밝힌 5곳은 파주 3곳, 이천 2곳이다.



경기 행복마을관리소는 택배보관, 공구대여, 환경개선 등 주민생활 불편사항 처리를 위한 곳으로 구도심 지역의 빈집이나 공공시설, 유휴공간 등에 조성하는 일종의 마을관리소다. 즉각적·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 제공과 공공일자리 창출에 효과가 있다.

관련기사



경기 행복마을관리소는 2018년 첫 시범사업 이후 올 5월 말까지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 제공 86만여건, 코로나19 대응 33만여건, 지역특색사업 7만9,000여건, 760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우리동네 안전지도 만들기, 결식 아동·노인 식사 배달, 안부전화서비스, 취약계층 공용 세탁방 운영, 공유공간 방역 예방 활동, 반려식물, 물고기 나눔사업 등 지역주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자의 97%가 만족, 98%가 재이용 의사를 밝혔다. 특히 올해는 도시재생, 공동체, 복지, 문화, 주민자치, 주거복지, 사회적 경제 등 7개 정책분야와 연계해 사업을 추진 중이다. 복지 분야에서는 각 복지관협회 등과 사업을 연계하고 시군별 인적안전망과 연계해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지원을 하고, 문화 분야에서는 도가 추진 중인 관광테마골목 육성사업과 연계해 지역 활성화를 추진하는 식이다.

이런 노력으로 경기 행복마을관리소는 지난해 행안부 주관 ’20년 주민생활 현장의 공공서비스 연계 강화 사업 공모 선정, ’20년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민관협업 분야 최우수 선정, 혁신 챔피언 등을 수상했다.

행복마을관리소는 경기도를 포함해 현재 서울, 울산, 충북, 광주, 인천, 부산, 강원, 전북, 전남, 세종, 경북, 경남 등 13개 시·도로 확대됐다. 도는 행복마을관리소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해 중앙부처 차원의 제도화를 건의 중이다.

박근균 경기도 자치행정과장은 “현재 운영비 절감 등 자생력 확보를 위해 공공건물 권장 및 가점 부여, 공동체일자리사업 인력지원, 자원봉사자를 통한 재능기부, 마을활동가 등 전문직 전담공무원 배치 등 효율적 운영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