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백신 노쇼에 골치 아픈 독일, 벌금 부과 주장까지

/EPA연합뉴스/EPA연합뉴스




독일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겠다고 예약한 뒤 정작 나타나지 않는 일명 '노쇼(no show)'가 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들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자고 주장하고 있어 정부의 행보가 주목된다.



5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베를린 적십자사의 책임자인 마리오 차자는 현지 라디오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베를린내 백신 접종 센터의 노쇼 비율이 5~10%로, 올 초 0.5% 대비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 센터에서는 하루 1만5,000건의 백신을 접종하기로 돼 있는데 노쇼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차자 책임자는 "베를린의 백신 보급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아직 위기를 벗어나지 못한만큼 이렇게 태만해서는 안된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노쇼 백신이 늘어날 경우 버려지는 백신도 함께 늘어날 수밖에 없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는데다 백신 구하기에 사활을 거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노쇼는 큰 문제다.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의 백신접종센터 책임자인 크리스티안 푸엘러는 현지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젊은 남성들은 1회 접종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이 때문에 2차 접종을 예약한 뒤 나타나지 않는 이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차자 책임자는 백신을 예약한 뒤 나타나지 않은 이들에게 25~30유로의 벌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신은 이 같은 노쇼가 독일의 백신 접종 계획에 골칫거리로 작용하고 있다며, 앙겔라 메르겔 독일 총리는 80%의 접종률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독일인의 39%는 2회 접종을 마쳤다. 최소 1회 접종을 한 이들은 56.5%에 달한다. 통신은 지난주의 경우 일 평균 접종건수는 70만1,998건이었다며, 이는 6월 둘째주 대비 18%나 감소한 수치라고 분석했다.

다만 독일 정부가 노쇼 벌금을 바로 도입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벌금 부과가 오히려 백신 접종 의지를 떨어트리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기 때문이다. 슈테펜 자이베르트 독일 정부 대변인도 백신 노쇼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는 것을 예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