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들이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것과 달리 중국과 일본 대학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인재 육성에 전력투구하며 창업 인큐베이터의 요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5년 ‘누구나 창업할 수 있고 혁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는 ‘대중 창업, 만중 혁신’이라는 기치 아래 공격적인 창업 지원에 나섰다. 창업에 나선 대학생들에게 기업 등록 절차 간소화, 해외 우수 인력에 대한 행정 및 금융 서비스 지원, 중소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다방면의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중국 곳곳에 퍼져 있는 창업원은 예비 창업 대학생들의 보금자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2019년 말 기준 중국 전역에 있는 창업원은 1만 3,206개에 달한다.
더 이상 선도적인 기업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 일본 역시 대학 창업 생태계 구축으로 활로를 개척하고 있다. 창업에 특화된 4년제 대학이 만들어질 정도다. 지난해 4월 창업 전문 대학으로 출범한 정보경영 이노베이션 전문직 대학(iU)은 모든 학생이 4학년이 되면 창업을 한다. 대학과 기업이 뜻을 모아 창업 초기 스타트업에 자금을 지원해주는 펀드 조성도 활발하다.
한국 역시 과거에 비해 창업 저변이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 창업 인프라가 열악한 수준이다. 대학생들의 창업률도, 창업 열기도 미약하다. 김진수 전 창업교육협의회장은 “중국·미국 등 창업 강국에 비해 창업률은 여전히 낮다”며 “각종 지원이 있지만 창업을 할 수 있는 심화 수준의 교육과 메이커스페이스 등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홍용택 서울대 창업지원단장은 “화학·바이오 실험 등이 가능한 웨트랩(Wet lab)은 여전히 수요에 비해 부족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