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데이터 기업 3배, AI 기업 4.5배 늘어나 …과기부, 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 발표

국내 데이터 시장 14.3% 성장해

2025년까지 49조원 투자하는 2.0 시행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이 21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 기자실에서'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 및 디지털 뉴딜 2.0 주요정책방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과기정통부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이 21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 기자실에서'디지털 뉴딜 1주년 성과 및 디지털 뉴딜 2.0 주요정책방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과기정통부




지난해 데이터 공급기업은 3배로 늘고 인공지능(AI) 기술 기업은 4.5배 규모로 증가해 데이터 산업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관계부처와 함께 디지털뉴딜 시행 1주년 성과로 이 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올해 데이터 공급기업은 1,126개로 2019(393개) 대비 2.9배 수준으로 늘어났고 AI 공급기업은 991개로 조사돼 2019년(220개)보다 4.5배로 커졌다. 이 기간 금융·교통·문화·의료 분야의 4,300여종, 약 10억건 이상의 분야별 다양한 데이터가 구축·개방·활용되면서 국내 데이터 시장은 전년 대비 14.3%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간 디지털뉴딜 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기관은 약 17만곳으로, 데이터댐(5만여명),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1만5,000명), 디지털 배움터(8,000명) 등 뉴딜 주요 사업에 약 7만명 이상이 참여했다.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위한 AI 대학원(10개), SW 중심대학(41개교), 지역 산업체를 기반으로 AI 교육 등을 진행하는 이노베이션 스퀘어(5개 권역), 혁신 SW 교육기관인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등 혁신교육 인프라를 확충하고, 디지털 핵심인력 3만명을 양성했다는 설명이다.

사진 설명사진 설명




정부는 지난 14일 발표한 디지털 뉴딜 2.0의 일환으로 데이터댐, 5세대 이동통신(5G) 고속도로 등 그간 구축한 디지털 인프라를 다양한 민간 영역에서 적극 활용하는 한편 공공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민간 주도의 혁신이 일어날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 조성을 다각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49조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올해 디지털뉴딜 2.0은 지난해 구축한 인프라를 민간에 제공해 활용하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민간 주도 혁신이 일어날 수 있도록 데이터댐과 5G 고속도로 등 인프라를 민간 영역에 제공한다. 공공부문에는 민간 기업 클라우드 활용을 권장한다.

데이터를 구축하는 데이터 댐 사업도 지속해 2025년까지 AI 학습용 데이터 1,300종과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 31개를 구축한다.

산업·사회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핵심 서비스에는 5G 특화망을 조기 적용한다. 5G 특화망이란 특정 지역에 도입하려는 서비스에 맞춰진 네트워크로, 스마트 공장 등 산업용도로 활용한다. 정부는 올해 내 특화망 구축 활성화를 위해 제도를 정비하고 주파수도 공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5G·AI 등 주요 사업에서 나타난 성과가 파급·확산될 수 있도록 지역·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대규모 확산 사업을 추진하고, 디지털 트윈 등 주요 기술과 타 산업 간의 융합·연계를 촉진한다.

지역별 특성에 맞는 AI를 지원해 디지털 혁신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이번 달 내로 '지역거점 중심 AI 확산계획'을 확정해 발표하기로 했다.

기업이 새로운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발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축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도 구축한다. 이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향후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과 핵심기술 개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