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탄소중립 선봉에 선 평택·당진항

2040년까지 수소 항만 조성 추진

LNG개질 수소 기반 수소 항만 시설 개념도. / 사진 제공=해수부LNG개질 수소 기반 수소 항만 시설 개념도. / 사진 제공=해수부




정부가 국가 항만인 평택·당진항을 오는 2040년까지 탄소 중립 항만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평택·당진항을 시작으로 부산항과 울산항 등 전국 주요 항만에 수소에너지 생태계를 구축하는 ‘수소 항만’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평택항 탄소 중립 항만 비전 선포 행사’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협약에는 평택지방해양수산청·경기도·평택시·한국가스공사·경기평택항만공사·한국가스기술공사·현대차·한국조선해양·현대글로비스 등이 참여했다.

관련기사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각 기관은 수소에 기반을 둔 탄소 중립 항만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 평택·당진항 수소 교통 복합 기지 구축, 항만 수소 차량 확대 보급과 실증 사업 추진 등을 통해 협력할 예정이다.

평택·당진항은 부산, 광양, 울산, 인천에 이어 국내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는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최대인 126만 대를 처리하는 등 주요 수출입 거점 항만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정부는 평택·당진항이 기존에 구축돼 있는 ‘평택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와 연계해 ‘블루수소’를 생산한 뒤 이를 배후도시·산업단지, 물류 모빌리티 등을 통해 소비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는 만큼 수소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적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 평택·당진항을 출발점으로 삼아 수소 생산·수입·저장·공급·활용 등 항만 내 수소에너지 생태계를 갖춘 수소 생산·물류·소비 거점인 ‘수소 항만’을 전국에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범정부적인 2050 탄소 중립 실현 정책에 따라 해운·항만 등 해양수산 분야에서 탄소 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평택·당진항은 수소 생산·물류·소비 여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항만인 만큼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수소 항만 선도 모델을 조성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국 주요 항만에 수소에너지 생태계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