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원료우유 잔류물질검사 시행…젖소농가 항생제 사용‘확’줄어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는 원료우유 잔류물질검사 프로그램(NRP National Residue control Program) 시행 이후 도내 젖소사육농가의 항생제 사용량이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10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국가시책에 따라 경기도 차원에서 항생제 등의 잔류여부를 가공 전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의 유업체 자체적으로 시행한 품질보증 체계에 도 검증 체계를 추가함으로써 우유 안전성 검증망을 한층 더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지난 2018년도부터 2년간 시범사업 추진 후 지난해 7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됐으며, 정밀 검사항목은 젖소농가에서 사용 가능성이 있는 항균제 57종, 항염증제 2종, 농약 9종, 구충제 2종, 곰팡이독소 1종 등 71종이다.

관련기사



부패, 잔류물질 검출 등의 이유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우유는 집유장에서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전량 폐기해 시중에 유통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특히 잔류물질 부적합에 따른 폐기량은 2017년 153톤, 2018년 151톤, 2019년 117톤, 2020년 108톤, 2021년(상반기) 49톤으로, 2018년 NRP검사 시범 도입 이후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가에 대한 지속적 홍보와 교육 등의 예방적 관리정책이 성공을 거둔 결과로 보인다.

시험소가 추가로 도내 300개 농가를 대상으로 한 ‘항생제 신속검사 키트’를 이용한 자체 모니터링 검사에서도 증명됐다. 페니실린 등 항생제 6계열 77종에 대한 검사결과 모든 농가에서 잔류물질이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험소는 이처럼 동물용의약품 오남용으로 인한 부적합 원료우유가 감소함에 따라 더 안전한 우유를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