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코로나 장기화에 진에어도 1,800억원 자본확충...LCC 네번째

재무구조 악화에 티웨이·제주항공·에어부산 이어 진에어도 유증


코로나19 장기화로 항공사들이 경영난에 빠진 항공사들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잇따라 자본확충에 나서고 있다.

진에어는 12일 이사회를 열고 1,084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750억원의 영구채 발행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유상증자는 주주 우선 배정 후 실권주 일반 공모 방식으로 진행되며, 신주 720만주가 주당 1만5,050원에 발행된다. 신주 상장 예정일은 11월 19일. 유상증자가 완료되면 진에어의 전체 발행 주식은 기존 4,500만주에서 5,220만주로 늘어난다.



진에어는 이달 20일 만기 30년의 신종자본증권(영구채) 750억원도 발행할 예정이다. 영구채는 만기를 계속 연기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된다.

관련기사



진에어의 자본확충은 관리종목 지정을 피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진에어는 올 1분기 자본잠식률이 42.4%에 달한다. 통상 자본잠식률이 50%를 넘으면 관리종목 지정대상이다.

진에어측은 "적극적인 재무 건전성 관리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유동성 사전 확보 차원"이라며 "총 1,834억원의 자본을 확대해 재무구조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제주항공은 다음날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무상감자와 유상증자를 결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액면가 5,000원의 보통주를 액면가 1,000원으로 감액하고,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티웨이항공은 지난 4월 8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고, 에어부산은 오는 10월 2,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할 계획이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