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자체, 자가격리자 정신 건강도 챙긴다

지역담당관 주축으로 지원팀 신설

울산, 신체 건강 외 마음 치유 추진

부산 서구, 온라인 평생학습 운영

진천 '집콕, 4주 트레이닝' 실시

지난 3일부터 자가격리에 들어간 울산의 한 기업체 현장직 직원 A 씨가 받은 구호물품. /독자 제공지난 3일부터 자가격리에 들어간 울산의 한 기업체 현장직 직원 A 씨가 받은 구호물품. /독자 제공




“도쿄올림픽도 끝나고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넷플릭스와 유튜브를 시청하며 시간을 떼우는 게 일상이에요. 계속 실내에 있다 보니 답답하지만 한편으로는 언제 이렇게 쉴 수 있을까라는 생각에 계속 시간만 보내고 있어요.”



울산의 한 기업체 현장직으로 일하는 A(51) 씨는 지난 3일 오전 울산시로부터 자가격리 대상자 통보를 받았다. 이틀 전 마트에 다녀오면서 들른 식당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동선이 겹쳤기 때문이다. A 씨는 자가격리 통보를 받자마자 곧장 회사를 나와 보건소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뒤 집으로 향했다.

A 씨는 “처음엔 나 하나 때문에 직장 동료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을까 걱정을 많이 했다”며 “다행히 첫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데다 현재까지 이렇다 할 증상이 없어 집 안방에서 조용히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세로 자가격리자가 급증하면서 각 지자체들이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제한된 행정력으로 늘어나는 자가격리자를 관리하려면 일손이 부족하지만 각 지자체마다 묘수를 짜내며 코로나19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6시 기준 전국의 자가격리자는 9만9,663명이다. 4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자가격리자 수도 급격히 늘어 연일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 코로나19가 국내에 유입된 지난해 2월 이후 현재까지 누적 자가격리자는 270만4,489명에 달한다. 중복 인원을 감안하더라도 우리 국민의 5%가 자가격리를 경험한 셈이다.

관련기사



전국 17개 시·도는 지역담당관을 주축으로 하는 지원팀을 신설하며 자가격리자 관리에 나서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는 10만7,363명의 공무원이 자가격리 업무를 겸하고 있다. 이 중 모니터링 공무원만 6만222명으로 공무원 1명이 자가격리자 1~2명을 담당하고 있다.

울산의 경우 지난해 지난 3월 15일 이후 100일 동안 지역사회 감염자가 0명을 유지해 5개 구·군별로 담당 공무원이 1~2명이었지만 현재는 모니터링 공무원만 999명으로 늘었다. 현재 울산의 자가격리자는 2,263명으로 공무원 1명이 2~3명을 담당하고 있다. 울산의 한 담당 공무원은 “1인 가구부터 어린 아이가 있는 집, 노부모와 함께 있는 집까지 사정이 다 다르다”며 “격리 수칙 준수부터 심리적 상태까지 매일매일 체크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초기만 해도 행안부와 지자체들은 자가격리 수칙 준수에만 방점을 뒀지만 현재는 신체 건강과 함께 격리 생활로 인한 심리적 안정까지 챙기고 있다. 부산 서구는 맞춤형 비대면 온라인 평생학습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갑작스러운 외부와의 단절로 인해 우울감이나 외로움을 느낄 수 있는 주민들이 심리적·정서적 안정감과 함께 짧은 기간이나마 평생학습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획했다.

충북 진천군 보건소는 지역주민들을 상대로 심·뇌혈관 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비대면 프로그램인 ‘집콕, 집쿡 4주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있다. 비대면으로 홈트레이닝과 요리교실을 운영해 일상에서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대전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도 야외 활동이 자유롭지 못한 가정을 위해 집안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할 수 있는 ‘집콕놀이 공모전’을 진행한다.

울산도 지난해 말부터 자가격리자를 위해 울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주관으로 ‘마음 치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센터는 24시간 정신건강 상담을 제공하는 전화를 운영하며 명상 애플리케이션 ‘마음의 달인’도 개발해 출시했다. 전남은 코로나19 자가격리자를 대상으로 돌봄 공백 해소에 나서고 있다. 지난 4월부터 전남사회서비스원을 통해 긴급돌봄지원단을 구성했다.

지원 물품도 다양해지고 있다. 행안부는 지난해 10월 자가격리자 지원을 위한 구호물품 기준을 마련했다. 마스크와 체온계, 손소독제, 폐기물봉투 등 필수 품목을 포함해 평균 6만7,000원에 맞춰 지자체 실정에 따라 자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지자체마다 구호물품 항목이 달라 일부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대구의 경우 자가격리자에게 3만5,000 원∼5만 원 상당의 구호물품을, 경북은 3만 원∼10만 원 상당을 지급하고 있어 타 지자체 수준으로 구호물품 종류와 금액을 올려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경북의 한 지자체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자가격리자가 급증하고 있어 그만큼 구호물품 구입비도 늘고 있다”며 “기업체 등에서 가끔 후원받는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자체에게는 구호물품 구입이 재정 부담의 압박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전국 종합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