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디즈니 "OTT '디즈니+', 올 11월 한국서 공식 서비스 시작"

"스토리텔링·창의성·혁신적 콘텐츠로 한국에 다가갈 수 있을 것"

넷플릭스·웨이브·티빙 등 중심 국내 OTT 시장 더 치열한 경쟁 주목

디즈니의 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 ‘디즈니+’ 로고. /사진 제공=월트디즈니 코리아디즈니의 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 ‘디즈니+’ 로고. /사진 제공=월트디즈니 코리아




글로벌 콘텐츠 미디어 디즈니가 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 ‘디즈니+’의 올 11월 한국 진출을 공식화했다. 국내 OTT 시장은 글로벌 사업자인 넷플릭스가 부동의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웨이브·티빙 등 국내 사업자가 그 차이를 좁혀가며 경쟁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여기에 디즈니+가 국내 진출 시점까지 못을 박음에 따라 ‘메기’가 하나 더 들어온 국내 시장의 경쟁 흐름이 어떻게 이어질지 업계 안팎에서 모두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월드디즈니 컴퍼니는 12일(현지시간) 열린 올해 3분기 글로벌 실적발표 콘퍼런스 콜에서 디즈니+가 오는 11월 한국·홍콩·대만에서 공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미 서비스 중인 일본의 경우 오는 10월부터 일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추가로 제공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루크 강 월트디즈니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디즈니+는 탄탄한 브랜드 포트폴리오와 폭넓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아태지역 소비자들로부터 예상을 뛰어넘는 큰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국을 비롯한 아태 전 지역의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뛰어난 스토리텔링, 우수한 창의성, 혁신적인 콘텐츠 제공을 통해 다가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디즈니 코리아 측은 국내 시장에서 디즈니+의 론칭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를 추후 공개하겠다고 전했다.

현재 디즈니+는 북미, 유럽, 아시아태평양, 중남미 등 전세계 61개 국가에서 21개의 언어로 서비스 중이다. 아태지역에선 호주·뉴질랜드·일본·싱가포르·인도·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태국 등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태국에서는 지난 6월 말 출시 이후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모두 인기순위 1위를 기록했으며,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에서도 주문형 VOD 시장의 선두주자로 올라섰다.

디즈니+의 경우 디즈니와 마블의 오리지널 콘텐츠 경쟁력이 막강한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마블 스튜디오의 ‘완다비전’, ‘팔콘과 윈터솔져’, ‘로키’ 등 오리지널 드라마는 국내에서도 아직 정식 서비스 전인데도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스타워즈 시리즈인 ‘더 만달로리안’도 미국서 시즌2까지 나오며 인기를 증명했다. 픽사의 ‘루카’ 등 애니메이션 작품도 디즈니+에서 만나볼 수 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