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한전 6분기 만에 적자전환…4분기 전기료 인상 불가피

2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 7,648억

연료비 상승분 반영땐 동결 힘들듯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권익위원회-6개 공기업 '윤리준법경영 인증 시범 운영기관 업무 협약식'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권익위원회-6개 공기업 '윤리준법경영 인증 시범 운영기관 업무 협약식'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료비 상승에도 전기 요금을 동결한 한국전력이 6개 분기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영업손실 확대로 4분기 전기 요금 인상 압박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전은 13일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7,648억 원으로 전년 동기(영업이익 3,898억 원)와 비교해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지난 2019년 4분기 이후 6개 분기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2분기 매출은 13조 5,189억 원으로 1년 전보다 3.4% 늘었다. 순손실은 6,739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관련기사



유가 상승으로 연료비가 증가하고 전력 구입비가 늘었지만 전기 요금을 올리지 못하면서 수익성이 낮아진 탓이다. 상반기 전력 판매량은 제조업의 평균 가동률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늘었다. 그러나 연료비 상승분이 전기 요금에 반영되지 못하면서 판매 단가가 하락해 전기 판매 수익은 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전은 올해부터 전기 생산에 들어간 연료비를 3개월 단위로 전기 요금에 반영하는 연료비연동제를 도입했다. 2분기와 3분기 전기 요금은 유가 상승세에도 물가 불안에 대한 우려에 동결했다. 앞서 정부는 “연료비 상승 추세가 지속되면 4분기에는 연료비 변동분이 (전기 요금) 단가에 반영되도록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력 생산에 사용하는 유류 가격 상승 추세를 감안하면 4분기 요금 인상은 불가피해 보인다.

상반기 한전 자회사들의 연료비와 한전이 민간 발전사로부터 사들인 전력 구입비는 전년 동기 대비 1조 2,868억 원(8.1%) 늘었다.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석탄발전상한제 시행과 전력 수요 증가 등으로 연료비가 비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의무발전비율(RPS)이 7%에서 9%로 상향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발전설비 및 송배전 설비 취득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기타 영업 비용 역시 1,553억 원 늘었다.

한전은 “향후 연료 가격 상승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고강도 경영 효율화를 통해 단위당 전력 공급 비용을 매년 3% 이내로 억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