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요기요 새 주인 된 GS리테일, 퀵커머스 강자 노린다

GS리테일 컨소시엄 DHK 지분 100% 인수

8,000억에 인수·2,000억 증자…총 1조원 투자

1만6,000여 소매점과의 시너지 '퀵커머스 1위' 목표

배달 직원이 배달 앱 ‘요기요’로 접수된 GS25 상품을 배달하기 위해 점포를 나서고 있다./사진 제공=GS리테일배달 직원이 배달 앱 ‘요기요’로 접수된 GS25 상품을 배달하기 위해 점포를 나서고 있다./사진 제공=GS리테일




GS리테일(007070)이 요기요의 새 주인이 됐다. 국내 음식 배달 애플리케이션 점유율 2위인 요기요와 전국 단위 GS리테일 소매점들의 시너지를 통해 퀵커머스(즉시배송) 시장에서 ‘게임체인저’가 되겠다는 목표다.



GS리테일이 13일 재무적 투자자인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퍼미라와 공동으로 구성한 컨소시엄을 통해 요기요를 운영하는 유한회사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DHK)’의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컨소시엄의 최종 인수 금액은 8,000억 원이며 GS리테일은 이 중 지분 30%에 해당하는 2,400억 원을 투자한다.

또 컨소시엄은 구주 인수와 동시에 2,000억 원 규모의 증자를 통해 DHK의 영업 활동을 즉시 지원할 계획이다. 이 중 GS리테일은 600억 원을 부담해 총 3,000억 원 규모로 투자 금액을 집행한다.



이번 인수 참여는 △요기요의 높은 시장점유율과 향후 성장성 △온·오프라인 커머스의 시너지 확대 가능성 △DHK의 안정적 재무구조 △글로벌 사모펀드와 공동 참여를 통한 투자 효율성 확보 등을 검토한 끝에 이뤄졌다고 GS리테일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GS리테일은 요기요 인수 즉시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특히 GS25·GS더프레시·랄라블라 등 GS리테일의 1만 6,000여 개에 이르는 소매점과 60여 곳의 물류센터망이 결합한 도심형 ‘마이크로풀필먼트(MFC)’를 통해 퀵커머스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GS리테일 관계자는 “가장 넓은 범위에서 가장 빠른 배달을 구현하는 퀵커머스 업계 1위로 단숨에 등극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앞서 GS리테일은 편의점과 슈퍼마켓 상품을 빠르게 배달받을 수 있는 전용 앱 ‘우딜-주문하기’를 출시하며 퀵커머스 시장에 진출했다. GS25의 상품 1,100여 종과 우리동네마트의 상품 3,500여 종을 주문할 수 있는 서비스로 론칭 후 10일간 누적 주문 10만 건을 돌파하기도 했다. 또 GS리테일은 이 같은 배달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4월 배달 서비스 ‘부릉’을 운영하는 메쉬코리아의 지분 19.53%를 인수했다.

사진 설명사진 설명


아울러 GS리테일은 자사가 보유한 신선 식품 소싱 역량을 기반으로 현재 70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 식자재 유통 시장에 진입하거나 가정간편식(HMR) 구독 서비스 같은 신규 사업과의 연계도 검토할 계획이다.

박솔잎 GS리테일 전무는 “이번 요기요 인수로 퀵커머스 사업 역량이 강화돼 1만 6,000여 개의 오프라인 플랫폼과 온라인 고객을 연결하고 GS리테일이 퀀텀점프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GS리테일의 보유 역량을 활용한 시너지 창출 외에도 다양한 신사업 전개의 기회도 적극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