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정부 "4차 대유행 단기간에 통제 쉽지 않아…광복절 연휴 영향도 주시"

휴가철 이후 전국적으로 확진자 증가

감염 재생산지수 0.99→1.1 상승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세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잠원IC에서 바라본 경부고속도로 상(왼쪽)·하행선의 모습. 막바지 여름 휴가를 보내려는 차량으로 하행선이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잠원IC에서 바라본 경부고속도로 상(왼쪽)·하행선의 모습. 막바지 여름 휴가를 보내려는 차량으로 하행선이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며 단기간 내 통제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5일 정례 브리핑에서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와 휴가철 이동이 맞물리면서 유행이 큰 규모로 증가하고 있어 단기간에 유행을 통제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손 반장은 특히 "휴가철 이후 전국적으로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며 "유행이 완만하게 줄어들던 수도권은 지난주부터 다시 증가 추이로 전환됐고 비수도권도 대전, 충청, 부산, 경남, 제주 등을 중심으로 유행이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광복절 연휴로 인한 후속 영향도 나타날 수 있어 긴장하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한 달 가까이 이어진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조처에도 코로나19 확산세는 좀체 꺾이지 않고 있다. 최근 1주간(8.8∼14) 국내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확진자는 하루 평균 1,780.3명으로, 직전 주(8.1∼7)의 1,495.4명보다 284.9명 증가했다. 비율로는 19.1%나 더 늘어난 것이다.

관련기사



수도권의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936.6명에서 1천77.1명으로 일주일 새 140.5명 늘었으며, 비수도권 역시 558.8명에서 703.2명으로 144.4명 증가했다. 특히 감염에 취약한 60세 이상 고령층의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지난 1주간 발생한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60세 이상은 214.1명으로, 직전 주(181.7명)보다 32.4명 많다.

확진자 수 이외의 주요 방역지표에도 계속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신규 확진자 가운데 아직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아 '조사 중'인 비율은 31.5%에 달했다. 새로 신고된 확진자 10명 중 3명 이상은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알지 못한다는 의미다.

기존 확진자의 접촉자 등으로 분류돼 자가격리 상태에 있다가 확진된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방역망 내 관리 비율' 역시 39.5%로, 전주(43.3%) 보다 하락했다. 확진자 한 명이 주변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감염 재생산지수'도 다시 오르는 추세다. 이 수치가 1 이상이면 유행 확산, 1 이하면 유행 억제를 각각 나타낸다.

손 반장은 "지난주는 감염 재생산지수는 1.1로 그 전주의 0.99에 비해 증가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그는 이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하고 있다"면서 "지난주 평균 위중증 환자는 377명으로 그 직전 주 347명보다 다소 늘었고, 한 주간의 사망자도 32명으로 그 직전 주 21명보다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연일 1,000명을 크게 웃도는 네 자릿수 확진자가 쏟아지면서 병상 확보에도 비상이 걸렸다. 전날 기준으로 코로나19 중환자가 치료받을 수 있는 병상은 총 287개로, 그중 수도권은 158개에 불과하다. 정부가 확보한 전체 병상 810개 대비 35.4%만 사용 가능한 셈이다.

감염병 전담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 역시 넉넉지 않은 상황이다. 무증상·경증 환자들이 머무르는 생활치료센터의 전국 가동률은 62.3%로, 현재 6,796개 병상을 쓸 수 있는 상태다. 감염병 전담병원의 경우 전체 8,592개 병상 가운데 2,201개(25.6%)만 비어있다. 손 반장은 "수도권 병상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을 시행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지만, 유행 규모가 지금보다 더 커지고 장기화하면 적절한 의료 제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