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클라우드 전환하면 탄소 배출량 80%까지 감소"

AWS·451리서치 조사 결과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이 자체 데이터센터를 클라우드로 이전하면 탄소 배출량을 8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17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클라우드 지속가능성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서 AWS는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소속 451 리서치가 작성한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클라우드 전환을 통한 탄소 감축 기회’ 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AWS 의뢰로 진행된 이번 조사는 호주, 인도, 일본, 싱가포르, 한국 등 APAC 지역의 민간 및 공공 부문 500여 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여기에는 100여 명의 국내 응답자도 포함됐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국내 기업과 공공 부문 조직이 자체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를 클라우드 인프라로 이관할 경우 에너지 소비 및 탄소 배출량을 80%까지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보다 에너지 효율적인 최신 서버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실제 APAC 기업들의 평균 서버 활용률은 15% 미만에 불과했지만, 클라우드 운영사들은 50%가 훨씬 넘게 서버를 활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국내에서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탄소배출 절감 효과도 높인다는 분석도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직원 250명 이상의 국내 기업 2,400개 중 25%가 1메가와트(MW)의 컴퓨팅 워크로드를 클라우드로 이전하고 재생에너지로 이를 운용하는 경우 5만 3,000 가구의 1년치 탄소 배출량을 절약할 수 있다.

켈리 모건 451 리서치 데이터 센터 인프라 및 관리형 서비스 리서치 디렉터는 “조사 결과 한국 기업들은 대상 APAC 국가 중 가장 빠르게 서버 인프라를 확장하고 최신 서버 기술을 채택하고 있지만 데이터센터 인프라 에너지 효율은 여전히 평균 미만”이라며 “AWS와 같은 클라우드 제공업체들과 협업하고, 저렴한 재생에너지 선택지를 더 확보한다면 상당한 양의 탄소 감축 가능성이 아직 남아 있다”고 말했다.

한편 AWS는 오는 203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목표로 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냉각 시스템 설계를 개선하고,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활용해 변화하는 기후 환경에 대응하는 등 탄소배출 감축에 힘쓰고 있다.


정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