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우조선해양 2분기 영업손실 1조 74억원…철강값 급등·분쟁 등 충당금 설정 여파

2분기 매출액 1조 694억 원 전년比 45.6% 감소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해 지난 2016년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사로 인도한 세계 최초 액화천연가스(LNG) 해양플랜트./사진 제공=대우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해 지난 2016년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사로 인도한 세계 최초 액화천연가스(LNG) 해양플랜트./사진 제공=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042660)이 건조 중 선박의 고정비 증가와 철강값 급등 여파에 적자 전환했다.

대우조선해양은 2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1조 74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작년 동기 영업이익 734억 원와 비교해 적자 전환한 것이다. 2분기 매출액은 1조 694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5.6% 줄었다. 당기순손실은 1조 123억 원이다.



상반기 기준 영업손실은 1조 2,203억 원이다. 작년 동기 3,524억 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 매출액은 2조 1,712억 원으로 44.7% 줄었고 당기순손실은 1조 2,470억 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관련기사



실적이 악화한 건 지난 2~3년 간 부진했던 수주로 매출이 급감한 영향이다. 건조 중 선박의 고정비 부담은 영업손실을 초래했다. 철강값 급등으로 인한 자재 가격 상승은 8,000억 원 대의 공사손실충당금 반영으로 영업손실 규모를 키웠다. 또 해양공사의 클레임 청구 등 분쟁으로 발생한 3,000억 원 규모 충당금 반영도 영향을 끼쳤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앞으로 발생할 지도 모를 다양한 위험에 대해 충당금을 설정했다”며 “신규 수주확대,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향후 수익성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현재까지 올해 수주 목표(77억 달러)의 82.2%인 63억 3,000만 달러를 달성해 작년 같은 기간(15억 3,000만 달러)에 비해 4배 이상 늘어난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주 잔량은 216억 달러로 통상적으로 2년 이상 안정적으로 조선소를 운영할 수 있는 조업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선박 가격 상승과 함께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면서 수익성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반기에는 카타르 프로젝트 등 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프로젝트의 발주가 예상돼 수주 목표 초과 달성도 기대하고 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