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체르노빌 사진'·'자책골 조롱'…MBC 보도본부장, 도쿄올림픽 방송사고에 사의

박성제 MBC 사장/연합뉴스박성제 MBC 사장/연합뉴스




'2020 도쿄올림픽' 개회식 생중계에서 '부적절한 자막'을 사용하고 남자 축구경기 중계 과정에서 상대팀을 조롱하는 듯한 자막을 내보내 물의를 빚는 등 대회기간 내내 논란의 중심에 섰던 MBC의 보도본부장이 방송사고에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MBC는 23일 "민병우 본부장이 방송사고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이날 오전 임원회의에서 밝혔고 박성제 사장이 사의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MBC는 송민근 스포츠국장에 대해서도 관리책임을 물어 교체하고, MBC 플러스의 조능희 사장과 황승욱 스포츠 담당 이사에 대해서는 엄중 경고 했다. 제작진에 대해서는 MBC와 MBC플러스 양사가 각각 인사위원회를 개최한 후 적절한 인사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



뿐만 아니라 MBC는 이번 2020 도쿄올림픽 방송사고 조사위원회를 통해 개회식과 중계방송 등에서 잘못된 이미지 및 자막이 사용된 경위에 대해 조사한 결과도 발표했다.

관련기사



/사진=MBC 방송화면 캡처/사진=MBC 방송화면 캡처


조사위는 사고의 원인으로 인권과 상대 국가 존중 등 공적가치와 규범에 대한 인식 미흡, 방송심의 규정 등 관련 규정과 과거 올림픽 사례에 대한 교육의 부족, 국제 대형 이벤트 중계방송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검수 시스템 미비, 중계방송 제작 준비 일정 제대로 수립하지 못한 점 등을 꼽았다.

조사위는 개막식에서 참가국을 소개하는 과정 중 부적절한 자막을 내보낸 것을 두고는 방송 강령에 명시된 '인류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다른 문화를 모독하거나 비하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키지 못했다고 봤다.

아울러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중계방송을 하면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사건이 재발한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하면서 스포츠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의 제작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방송 준비에 혼선이 있었던 것도 원인으로 짚었다.

MBC는 조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개인의 판단 또는 실수로 부적절한 자막과 사진, 자료화면 등이 방송되지 않도록 스포츠제작 가이드라인과 검수시스템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이번 일을 계기로 'MBC 공공성 강화 위원회'를 설치해 전반적인 제작시스템을 점검하고 혁신을 추구하기로 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