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삼표도 ESG 경영 속도전…2,000억 들여 '탄소 제로'

'2050 로드맵'으로 단계별 감축

친환경 설비 구축 원료 대체 추진

폐열 발전 등 도입도 확대 계획





삼표그룹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경영 강화의 일환으로 환경분야에 투자를 집중하기로 하고 앞으로 5년간 2,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삼표그룹은 오는 2050년까지 모든 사업영역에서 탄소 배출을 100% 감축한다는 목표를 담은 ‘2050 탄소제로 로드맵’을 마련했다고 23일 밝혔다.

로드맵에는 탄소제로 달성을 위한 단계별 감축 목표와 사업별 세부방안, 투자계획 등이 담겼다. 이번 로드맵은 시멘트를 제조·운송하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탄소를 2030년까지 35% 감축하고, 2050년까지 100% 탄소제로를 달성한다는 단계적 목표가 제시됐다.

삼표그룹의 한 직원이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활용해 설비점검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표그룹삼표그룹의 한 직원이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활용해 설비점검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표그룹




이를 위해 삼표는 1단계에서 △친환경 연료 전환 △에너지 효율 개선 △저탄소 배출 원료 도입 △친환경 제품 개발 등을 통해 탄소 배출을 감축할 방침이다. 2단계에서는 △사업 전반에서 친환경 중심 공정 및 저탄소 전환 지속 추진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개발 등에 적극 나선다.



삼표는 1~2단계 계획을 조기 실행하기 위해 앞으로 5년간 약 2,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올해는 약 700억원을 투입해 탄소 저감, 원료 대체 등을 위한 친환경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아울러 환경 분야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투자와 연구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것은 물론 산학협력, 해외사례 벤치마킹도 추진할 예정이다.

삼표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폐열 발전 및 고효율 설비 도입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2004년 업계 최초로 시멘트 소성로의 폐열을 회수해 연간 약 13만메가와트(MW)의 전력을 생산하는 폐열발전소를 도입한 바 있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이번 로드맵은 친환경을 중심으로 한 경영환경의 변화 속에서 지속가능한 생존과 성장에 대한 고민의 결과”라며 “업계 선도 기업 수준의 로드맵 수립과 실행으로 탄소 감축이라는 실질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