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韓 GDP 4.6배 늘어날 때 中은 30배 폭증

■ 전경련, 한중 격차 변화 분석

수출 韓 6.7배 中은 65배 급증

국가경쟁력 순위도 中이 앞질러





한중 수교 이후 30년간 중국이 다수의 주요 경제지표에서 한국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4일 한중 수교 29주년을 맞아 한중 간 경제·경쟁력 격차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중국은 수교 이후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을 크게 추월했다. 명목 기준 한국의 GDP는 지난 1992년 3,56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 6,310억 달러로 4.6배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중국은 4,920억 달러에서 14조 7,230억 달러로 29.9배 폭증했다. 이에 따라 한중 간 명목 GDP 격차는 같은 기간 1.4배에서 9.0배로 벌어졌다.

관련기사



명목 1인당 GDP도 한국은 1992년 8,126달러에서 2020년 3만 1,497달러로 3.9배 늘었지만, 중국은 420달러에서 1만 484달러로 25배 급증했다. 1992년 한국의 5.2%에 불과했던 중국의 명목 1인당 GDP가 2020년에는 33.3% 수준까지 쫓아온 셈이다.

대외 부문 지표에서도 중국의 성장세는 가팔랐다. 한국의 수출액은 1992년 770억 달러에서 2020년 5,130억 달러로 6.7배 성장했지만, 중국은 860억 달러에서 5조5,980억 달러로 65.1배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국가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순위도 중국은 한국을 앞질렀다. 한국 순위는 1994년 32위에서 2021년 23위로 9계단 올랐지만, 중국은 34위에서 16위로 18계단 뛰어올랐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 수는 2019년 69개를 나타내며 중국(1,759개)에 크게 뒤졌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은 중국과의 경제 교류를 확대하는 한편 동남아시아 등 신흥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 성장에 힘써야 한다”며 “혁신 산업을 가로막는 규제 개선, 노동시장 구조개혁, 4차 산업혁명 분야 적극 진출 등 정부와 기업이 함께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