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택배 노조 갑질에 고인 된 대리점주 유가족 “노조의 이름으로 폭력 자행”

경기도 김포시 한 택배업체 터미널에 마련된 40대 택배대리점주 A씨의 분향소 인근에 전국 택배대리점 점주들이 보낸 근조화환들이 줄지어 놓여 있다./사진 제공=CJ대한통운경기도 김포시 한 택배업체 터미널에 마련된 40대 택배대리점주 A씨의 분향소 인근에 전국 택배대리점 점주들이 보낸 근조화환들이 줄지어 놓여 있다./사진 제공=CJ대한통운




민주노총 소속 택배 기사들의 갑질에 극단적 선택을 한 CJ대한통운 대리점주 유가족들이 “노조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폭력과 괴롭힘을 밝혀달라”고 호소했다. 김포에서 CJ대한통운 대리점을 운영하던 A씨는 노조를 원망하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지난달 30일 극단적 선택을 한 바 있다.



2일 유가족 측은 “노조의 기자회견은 고인의 죽음을 모욕하는 패륜적 행위”라며 “유족으로서는 분노를 금할 수 없고, 황망한 중이지만 입장을 밝히지 않을 수 없다”며 입을 열었다. 민주노총 소속 택배노조는 A씨의 죽음과 관련해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노조원의 괴롭힘을 인정하면서도 원청인 CJ대한통운도 책임이 있다며 사실상 노조에 쏠리는 비판의 화살을 회피하려는 자세를 취했다.

관련기사



이에 유가족 측은 “확인되지도 않은 사실을 앞세워 고인의 마지막 목소리마저 부정하는 파렴치한 태도를 보여줬다”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쏟아낸 헛된 말들이 마치 진실인 양 탈을 쓰고 돌아다닌다면, 고인을 다시 한번 죽음으로 몰아넣는 것”이라고 호소했다.

유가족 측은 노조 측의 갑질 행위를 명백히 밝혀달라고 강조했다. 유가족 측은 “고인은 유언장을 통해 노조의 괴롭힘이 극단적 선택을 하게 된 원인이라고 명백하게 밝혔다”며 “고인은 죽음을 통해 노조의 횡포가 죽음을 선택할 수 밖에 없을 정도로 극에 달해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공연하게 자행된 집단 괴롭힘과 폭력을 밝히고 이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 고인의 죽음을 헛되지 않게 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고인의 유언을 통해 진실이 명백하게 밝혀졌는데도 노조의 교묘한 주장에 동조하는 것은 진실을 덮으려는 노조의 파렴치한 행위를 정당화시켜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운명을 달리한 A씨는 경기도 김포에서 대리점을 운영했다. 문제는 소속 택배기사들이 지난 5월께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조에 가입하고 일부 택배 배송을 거부하는 등 집단행동을 하면서 시작됐다. 노조원도 12명까지 늘었다.노조와 갈등이 심화하고 배송 지연 사례가 늘자 A씨는 대리점 운영일을 하면서 직접 택배 배송에도 나섰다. 유서에는 노조원 12명의 이름과 이들의 집단행동을 원망하는 내용이 담겼다. 유서에 따르면 A씨는 “처음 경험해본 노조원들의 불법 태업과 쟁의권도 없는 그들의 쟁의 활동보다 더한 업무방해, 파업이 종료되었어도 더 강도 높은 노조 활동을 하겠다는 통보에 비노조원들과 버티는 하루하루는 지옥과 같았다”며 "지쳐가는 몸을 추스르며 마음 단단히 먹고 다시 좋은 날이 있겠지 버텨보려 했지만 그들의 집단 괴롭힘,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태업에 우울증이 극에 달해 버틸 수 없는 상황까지 오게 됐다"고 호소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