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카카오·네이버 '날벼락'...장중 시총 12조 날아갔다

네이버 7%대, 카카오 9%대 하락

두 종목 합쳐 시총 12조 원 증발해

금융당국·정치권 규제 움직임 영향

변동성 커지며 코스피 거래액 20% 흡수





네이버(NAVER(035420))와 카카오(035720)가 금융 당국와 정치권의 빅테크 규제 움직임에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장중 두 종목에서만 약 12조 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8일 오후 1시 57분 현재 카카오는 전 거래일보다 1만 5,000원(9.74%) 하락한 13만 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네이버는 3만 5,000원(7.87%) 내린 40만 9,500원을 기록 중이다.

이에 따라 하루 사이에 카카오의 시가총액은 약 6조 7,000억 원, 네이버의 시가총액은 약 5조 7,000억 원 증발했다. 두 종목에서만 약 12조 4,000억 원의 시가총액이 날아간 셈이다.



이날 두 기업의 주가가 모두 급락세를 보인 이유는 금융 당국과 정치권에서 동시에 온라인 플랫폼 기업 규제 움직임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우선 지난 7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카카오페이·네이버파이낸셜 등 일부 온라인 금융 플랫폼의 금융 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를 금융소비자보호법상 ‘투자 중개 행위’로 판단한 영향이 컸다. 앞으로 네이버·카카오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적어도 금소법 계도 기간이 끝나는 이달 24일까진 금융위에 금융 상품 판매대리·중개업자로 등록해야 한다. 그러지 못할 경우 카카오페이·네이버파이낸셜에서 펀드·연금 등 타 금융사 투자 상품을 비교·추천해줄 수 없게 된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카카오의 시장 독점 논란을 거론한 것도 주가에 악재로 작용했다. 정치권 내 온라인 플랫폼 불공정거래 규제 방안이 공론화되는 모습으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전날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같은 당 송갑석·이동주 의원실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카카오가 공정과 상생을 무시하고 이윤만을 추구했던 과거 대기업들의 모습을 그대로 따라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도 “입점 업체에 대한 지위 남용과 골목 시장 진출, 서비스 가격 인상 시도까지 카카오의 행보 하나하나가 큰 우려를 낳고 있다”며 “민주당은 이러한 상황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와 네이버엔 이날 코스피 전체 거래대금의 20%가 몰렸다. 카카오엔 2조 원, 네이버의 경우 8,185억 원의 거래대금이 쏠렸다. 각각 코스피 거래대금 1·2위다. 이날 코스피 거래대금이 13조 4,000억 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전체 유가증권시장 거래액의 21%가 네이버·카카오 몫이라는 뜻이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