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실패로 끝난 공용ATM 실험…"공동점포 시도는 더 어려워"

4대 시중은행에 도입된 지 1년

비대면 거래 늘어 이용률 부진

시스템 제각각에 기술적 한계





지난해 국내에서 처음 시범 도입했던 ‘공동 자동화기기(ATM)’가 고객에게 외면 받으면서 확대 논의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ATM을 찾는 수요가 준 데다가 기술적으로 ‘완벽한’ 통합이 사실상 불가능한 탓이다. 시중은행의 오프라인 점포도 해마다 줄어들어 공동 ATM을 넘어 ‘공용 점포’가 대안으로 손꼽히지만 이 역시 현실화되기까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이 경기도 하남·진접·동탄·광주광산점 등 이마트 4곳에 설치한 공동 ATM의 이용률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 ATM은 지난해 8월 처음 설치됐다. 당시 4대 시중은행의 ATM이 모두 설치돼 있는 곳을 찾다 보니 이마트 경기도 지점들로 선정됐다. 은행들은 공동 ATM을 시범 운영한 뒤 확대 방안 등을 결정할 계획이었으나 1년이 넘었는데도 실효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4개 은행 고객의 공동 ATM인데도 이용 횟수가 개별 은행의 ATM 1대와 큰 차이가 없었다”며 “오히려 기존 ATM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일부가 공동 ATM에서 제공되지 않아 불편하다는 민원도 있어 확대 논의는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은행별 운용비 효율화 시도가 성과를 내지 못한 데 대해 은행들은 모바일뱅킹의 활성화로 ATM 이용률이 줄어든 점을 꼽는다. 공동 ATM이 카드 기반의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고 통장 정리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점도 문제다. 은행마다 통장의 ATM 인식 센서 위치, 작동 시스템이 제각각이다 보니 통장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까지 공동 ATM에서 제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은행권에서는 공동 ATM 실험이 큰 성과를 보이지 못하면서 공용 점포 역시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은행들이 영업 점포 수를 줄이면서 은행 두세 곳이 함께 모여 영업하는 공동 점포를 대안으로 거론해왔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상반기 국내 은행 점포 운영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점포는 6,326개로 지난해 말보다 79개 감소했다. 점포 11곳이 신설되는 동안 90곳이 문을 닫은 결과다. 권용석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공동 점포가 임차료 절감 등 저비용으로 오프라인 채널을 운영해 디지털 소외 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유지하는 장점을 갖지만 점포 관리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고 입점 은행 간 경쟁으로 영업 환경이 악화될 수 있는 우려도 있다”고 언급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