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경련 “한국, 한계기업 비중 OECD 4번째로 커”

5곳 중 1곳, 영업익으로 이자도 못내





우리나라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한계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네 번째로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OECD 회원국 내 자산총액 500억 원 이상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18.9%로 집계됐다. 5개 기업 중 1개는 2018~2020년간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한 것이다.

관련기사



2016~2020년 5년간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6년 15.7%에서 2017년 15.2%로 소폭 하락한 후 2020년까지 지속해서 상승했다. 또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OECD 25개국 중 캐나다와 미국, 그리스에 이어 네 번째로 컸고 OECD 평균 13.4%보다 5.5%포인트 높았다. 한계기업 비중이 가장 적은 나라인 일본(2.5%)의 7.6배에 달했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8년 16.1%에서 2020년 18.9%로 2.8%포인트 증가해 OECD 평균 증가 폭(1.8%포인트)도 웃돌았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조사대상 25개국 중 19개국의 2018년 대비 2020년의 한계기업 비중이 증가했고,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 증가 폭은 25개국 중 10번째로 높았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OECD에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증가 속도도 빠른 편”이라며 “친기업적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