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2만명분 확보"

고위험군 투약 전망

미국 제약사 머크가 공개한 실험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사진./연합뉴스미국 제약사 머크가 공개한 실험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2만 명분을 확보했다. 경구용 치료제를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질병관리청은 “경구용 치료제 2만 명분을 포함해 이미 확보된 물량이 있고, 추가 물량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개발 3사인 머크앤컴퍼니(MSD), 화이자, 로슈와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질병청은 이어 “개발사와 협의해 ‘계약 완료 시’ 등 시점을 정해 계약사항을 공개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계약 상황을 현 시점에서 모두 말씀드리지 못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또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약 4만 명을 치료할 수 있는 분량은 예산을 확보했고 2만 명분은 선구매 계약을 한 상태”라며 “미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신청한 회사뿐 아니라 국내 개발 업체의 상황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투약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은경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단장 겸 질병관리청장은 4일 정례 브리핑에서 “국내외 코로나 치료제에 대해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며 “미국 MSD 외에 화이자, 로슈가 치료제를 개발중이고 국내 기업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선구매 등 필요한 부분에 대해 협의가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정 추진단장은 이어 “구매가 확정되면 허가 범위 내에서 사용할 것이고, 우선되는것은 중증, 사망 우려가 높은 고위험군에 조기 투여할 것이다. 전문가들과 논의를 거쳐 지침을 마련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최근 MSD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가 입원율과 사망률을 절반가량 감소시키는 것으로 임상 시험 결과 나타났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